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트럼프 관세 회피…중국, 동남아 통해 우회 수출"

by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중국 기업들이 미국이 부과한 고율의 대(對)중국 관세를 피해 상대적으로 관세율이 낮은 동남아시아를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43%(150억달러·약 20조5천억원) 감소했다.
중국 공식 통계에 따르면 같은 달 중국의 전체 수출은 4.8% 증가했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이 각각 15%, 12% 증가하면서 대미 수출 감소를 상쇄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윌리엄스는 통계가 "정말 눈에 띄는 패턴"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2018년 첫 번째 미중 무역 전쟁 당시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미국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감했지만, 베트남과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은 증가했다"고 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지난 5월 중국산 수출품 34억달러(약 4조6천400억원)어치가 베트남을 통해 미국에 수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1년 전보다 30% 증가한 수치다.
인도네시아를 통한 우회 수출도 급증했다. 같은 달 우회 수출 추정 물량이 8억달러(약 1조900억원)로, 1년 전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중국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인쇄회로기판, 전화기 부품,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등 중국산 전자부품의 베트남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54%(26억달러·약 3조5천억원) 증가했다.
인도에서는 관세의 영향이 스마트폰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이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의 조립을 내년부터 인도에서 하기로 한 결정 때문이다.
리서치 회사인 '글로벌 트레이드 리서치 이니셔티브'의 창립자 아자이 스리바스타바에 따르면 지난 5월 인도의 대미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가운데 중국(홍콩 포함)에서의 수입도 22.4% 증가했다.
스리바스타바는 "인도의 전자제품과 기계류 수입(대부분 중국산)의 급증과 대미 수출 증가는 글로벌 공급망이 관세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의 EU 수출이 급증했지만, 미국 우회 수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1~5월 EU의 중국산 의류, 화학제품, 기계류 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가파르게 증가했지만 분석가들은 이처럼 급증한 물량이 미국으로 다시 수출되기보다 EU 안에서 소비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jungwo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