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이 기승인 가운데, '기후 불안(climate anxiety)'에 대한 심리지원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8일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가 서울스퀘어에서 개최한 '기후보건포럼'에서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장은 '기후변화와 정신건강'을 주제로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산불 등은 트라우마성 사건이 돼 우울, 불안, 수면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발생률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 불안은 주로 청소년, 청년세대에서 나타나고, 무기력감이나 상실감 분노로 이어진다"면서 "단순한 정서 반응을 넘어 교육, 진로, 인간관계, 출산 계획 등 삶의 다양한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더불어 "기후 불안은 정신질환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이미 세계보건기구(WHO)와 여러 연구기관에서 미래형 정신건강 이슈로 다루고 있는 만큼 국내 실태 조사와 세대별 특화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국가트라우마센터가 2019년 강원 산불 당시 정신 건강 상태를 분석한 결과, 산불 경험자의 65%가 불면을, 58%가 불안 증상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 경험자의 4분의 1가량은 정신적 고통이 중등도 이상이었고, 13%는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
기후 변화로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가 커지고, 질병 매개체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김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미래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량은 줄고,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는 늘 것"이라며 "기온 변화로 작물의 재배 면적과 병해충 발생 위험이 시공간적으로 변한 탓에 새로운 병해충과 잡초가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1968∼2023년 우리 바다의 표층 수온은 전 세계 평균의 2배 이상인 약 1.44도 올랐다"며 "미래에는 주요 상업성 어종 서식지와 어류의 출현이 줄고, 양식품종 중에서는 해조류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과 더불어 기상 재해, 대기오염, 감염병,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건강 위험이 커질 것"이라며 "이에 따른 건강 피해는 지역적·사회적 취약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취약 인구·지역을 대상으로 적절히 개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청은 기후 변화가 국민 건강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기후보건영향평가를 5년마다 진행 중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