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금고 2곳 횡령 사고 계기…중대 금융사고 당사자 '원스트라이크 아웃'
내부통제 운영현황 집중 확인…"지역뿌리 새마을금고 더 높은 신뢰·책임 요구"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정부가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일선 새마을금고 100여곳을 대상으로 내주부터 특별점검에 나선다.
또 일선 금고에서 빈번하게 벌어져 온 금융사고를 뿌리뽑기 위해 금융사고 내부고발자에 대한 포상금을 최대 10배로 상향 조정한다.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지원을 받아 21일부터 9월 말까지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금고 100여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벌인다고 15일 밝혔다.
당국은 이번 특별점검을 비롯한 새마을금고 감사 과정에서 금융사고가 적발되거나 내부통제 책임자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될 경우 엄중히 제재한다는 방침이다.
올 4월부터 진행돼 온 정부합동감사에서도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와 내부통제 운영현황에 대해서도 집중 검토하기로 했다.
행안부가 대대적인 특별점검에 나선 것은 일선 금고에서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대구에서는 2건의 횡령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대구지역 A금고에서는 수신 담당 직원이 금고에 보관하던 현금다발을 가짜 돈으로 바꿔치기하는 횡령이 발생했다. 중앙회에서 상시검사 모니터링 중 이상징후를 포착해 검사를 진행했고, 관련자는 징계 면직처리되고 경찰에 자수했다.
B금고에서는 대출 담당 차장급 직원이 고객 예탁금을 임의로 인출하는 사고가 났다. 금고 내부통제책임자가 사고 다음 날 업무점검 시 의심거래를 확인해 보고했고, 중앙회가 검사에 나섰다.
마찬가지로 관련자는 징계 면직처리되고 경찰에 자수했다.
행안부는 새마을금고중앙회 13개 지역본부에서 전국 모든 새마을금고의 내부통제 운영현황을 분기별로 점검하고, 임직원 교육도 강화한다.
행안부는 현재 사고금액의 1%·최대한도 5천만원 수준인 새마을금고 내부고발자 포상금을 사고금액의 10%·최대한 5억원으로 10배 상향해 내부고발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크게 늘린다.
또 새마을금고를 믿고 돈을 맡긴 고객의 신뢰를 저버린 횡령 등 중대한 금융사고의 당사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징계면직 처리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한다. 업무를 소홀히 한 내부통제 책임자에 대해서도 제재 기준 상향을 추진한다.
행안부는 새마을금고중앙회 핫라인으로 운영 중인 MG안심신고센터(카카오톡·유선), 레드휘슬(외부 홈페이지),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비밀게시판 등 다양한 채널로 금융사고를 고발할 수 있도록 전체 새마을금고 임직원을 대상으로 신고채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내부고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역사회에 뿌리를 둔 새마을금고는 타 금융기관보다 더 높은 신뢰성과 사회적 책임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새마을금고의 금융사고 근절을 위해 주어진 감독권을 적극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eddi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