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도부, 7가지 도시건설 과제 제시…"과감한 부동산 정책은 안 나와"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10년 만에 소집된 중앙도시공작회의를 통해 도시 속 낙후 지역의 노후 주택 정비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1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을 비롯해 리창 국무원 총리, 자오러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왕후닝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 리시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등 7명의 당정치국 상무위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도시공작회의가 14∼15일 이틀간 베이징에서 진행됐다.
시 주석은 이번 회의에서 중요 연설을 통해 새로운 시대 이후 중국의 도시 발전 성과를 총결산하고 도시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요구사항과 중요 원칙, 중점 임무 등을 명확히 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중국 도시화가 고속 성장에서 안정적 발전 단계로 전환 중이며, 도시 개발은 대규모 확장에서 품질 향상 및 효율성 증대 단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회의는 평가했다.
회의에서 지도부는 ▲ 현대화된 도시 시스템 최적화 ▲ 역동적인 혁신도시 건설 ▲ 성중촌(城中村·도시 내 낙후 지역) 정비 등을 통한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 건설 ▲ 녹색 저탄소 도시 건설 ▲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한 안전한 도시 건설 ▲ 도시 문화의 소프트 파워 구축 강화 ▲ 스마트 시티 건설 등의 7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지난해 발표됐던 성중촌 등 도시 빈민가와 낡고 위험한 주택에 대한 정비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또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초고층 건물을 엄격히 제한하고 홍수 방지 체계 등 자연재해 방재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앞서 2015년 말 열린 중앙도시공작회의에서 지도부는 도시 내 판자촌을 사실상 모두 없애는 등의 대규모 개발 추진을 다짐했다.
당시 회의는 개혁개방이 시작된 1978년 이후 37년 만에 열려 중국의 도시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암시했다.
이후 실제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고 집값 상승이 일어났으나 코로나 때 부실 부동산 기업의 파산 등이 이어지며 현재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중국 경제 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받고 있다.
그러나 다시 10년 만에 열린 이번 회의에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과감한 정책은 나오지 않았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짚었다.
suk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