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유아의 수면시간이 생후 초기부터 서구 국가에 비해 짧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행동수면의학회(Society of Behavioral Sleep Medicine)의 공식 학술지 'Behavioral Sleep Medicine'에 실린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서수연 교수 연구팀과 호주 Monash 대학 연구팀의 한국·미국·호주 산모·유아의 수면 패턴에 대한 다국적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6, 12, 24개월의 유아를 자녀로 둔 한국·미국·호주 여성 2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 유아들이 모든 시점에서 미국 유아에 비해 밤 수면시간이 짧고 잠 드는 데 더 오래 걸렸으며, 호주 유아와 비교했을 때도 12개월 및 24개월 시점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서구 국가와 비교했을 때 아시아 국가 유아들의 수면 시간이 더 짧고 취침시간이 더 늦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앞서 이러한 현상이 과열된 학업 경쟁으로 인한 바쁜 학원 일정이 주된 원인으로 조명되기도 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아시아 국가 유아들의 짧은 수면 시간은 학창 시절보다 훨씬 이른 돌 전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유아들은 돌 무렵(12개월)에 미국과 호주 유아에 비해 매일 약 74분더 짧게 자는 것으로 보고됐다.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최근 아동 우울증이 급증하고 있다는 보고들은 어린 시절부터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더욱 부각시킨다는 지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산모들의 불면증 증상도 선진국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잠들지 못하고, 밤중에 자주 깨어 보호자를 찾는 수면 문제는 영유아 3명 중 1명에게 흔히 발생하며, 부모의 숙면을 방해하는 것은 양육 스트레스 또한 가중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정부에서 마련한 '수면 학교'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하는 호주처럼, 아이들을 더 잘 재우고 부모들도 꼭 필요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 유아 12개월 기준으로 미국(6%)이나 호주(31%)에 비해 한국 부모는 아이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것을 선호하는 '코슬리핑' 양상이 가장 높게 보고돼 (85%) 야간 양육의 문화적 차이도 볼 수 있었다.
서수연 교수는 "태어날 때부터 선진국에 비해 대한민국 아기들이 적게 자고 산모들의 불면증 증상이 높은 것은 사회적 요인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면서, "한국 산모에게 불균형하게 가중되는 야간 육아 부담, 아버지의 늦은 퇴근 시간으로 인해 아이들의 취침 시간이 지연되며, 코슬리핑을 고집하는 수면 문화가 산모들의 불면증으로 이어져 결국 저출산과 같은 사회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야간 양육과 관련된 수면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변화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