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광주 광산구 '발암물질 지하수' 수질검사 감독 시스템 허술

by

최근 1급 발암물질이 검출된 광주 하남산단 공업용 지하수가 지난 5년간 수질검사에서 누락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자체의 허술한 수질 관리·감독 체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광주 광산구에 따르면 구는 하남산단과 주변 도심권 일대에 설치된 지하수 관정 245곳에 대해 수질을 확인하기 위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남산단 지하수에서 1급 발암물질인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와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를 받고도 2년 넘게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고 뒤늦게 내놓은 수습책 중 하나다.
현재 136곳에 대한 수질 검사 결과가 나왔는데 이중 공업용 지하수 관정 2곳에서 TCE, PCE가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됐다.
특히 A 업체가 사용하는 지하수는 기준치를 TCE 18.8배, PCE 7.9배 초과했다.
그러나 A 업체의 지하수는 5년 넘게 수질 검사 관리·감독 시스템에서 누락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2020년 지하수 자진신고 기간 지자체에 신고된 이후 단 한 번도 수질 검사를 받지 않았다.
관련 법령에 따르면 30t 이상 공업용 및 생활용(비음용) 지하수는 3년에 1차례씩 이용자가 수질 검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지자체에 제출해야 한다.
그러나 광산구는 A 업체가 수질 검사 대상에 해당한다거나 수질 검사를 누락했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 보니 A 업체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못하는 등 수질 관리 시스템의 허점이 고스란히 드러냈다.
자체 수질 검사 결과도 의심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전수조사에서 B 업체가 사용하는 지하수는 TCE가 기준치를 6.9배 초과했다.
B 업체는 불과 3년 전 TCE, PCE가 불검출됐다는 수질검사 시험 성적서를 제출한 바 있다.
대부분 민간 조사업체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수질 검사 결과를 믿을 수 있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수질검사를 의뢰하고 비용까지 주는 의뢰자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며 "공신력 있는 수질 검사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산구는 두 업체에 대해 수질 개선명령을 내리고 한 달 내 기준치 이내로 정화되지 않으면 폐공 등 후속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광산구는 2023년 '하남산단 지하수 토양오염 조사 용역'을 통해 1급 발암물질인 TCE와 PCE가 기준치보다 최대 466배, 284배가 넘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도 2년 넘게 정화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논란이 됐다.
발암물질이 확산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자 하남산단과 주변 도심권 일대에 설치된 실사용 지하수 관정 245곳에 대한 수질 검사를 진행 중이다.
in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