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수술 합병증 중 하나…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
(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치명적인 수술 합병증 중 하나인 급성 신손상(PO-AKI)을 조기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이하정·박세훈 교수, 융합의학과 김광수 교수, 정수민 연구원이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의 대규모 수술 데이터를 활용해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급성 신손상은 암 수술 등 여러 종류의 수술 이후 신장(콩팥) 세포가 손상돼 기능이 급격히 악화하는 질환을 가리킨다. 수술 회복을 늦추고 투석과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집중 모니터링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연구팀은 수술 중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혈압, 심박수 등 생체신호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해 신장 손상 위험도를 조기에 경고하는 AI 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기존 모델은 대부분 수술 전 기초 정보를 토대로 위험을 예측했는데 이번에 새로 개발된 모델은 수술 중인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약 11만명의 수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과 외부 검증을 진행했고 예측 정확도는 훈련 코호트(집단)에서 79.5%, 검증 코호트에서 76.2%, 78.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박세훈 교수는 "모델을 수술실 내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하면 수술 환자의 예후 개선과 의료 안전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R&D)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선도형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최근 의학 학술지 '플로스 메디슨(PLOS Medicine)'에 게재됐다.
momen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