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영재학교 의약학계열 진학률 2.5%·과학고 1.7%…2∼3년 연속↓(종합)

by


교육부 "영재학교·과학고 의약학계열 진학, 하락 추세로 전환"
입시업체 "N수생 빠져 있는 수치…실제 진학률은 더 높을 수도"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의 대학 의약학계열 진학률이 최근 2∼3년간 하락하며 1∼2%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12일 2020∼2025학년도 6년간 영재학교·과학고 의약학 계열 진학률을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전국 8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5%로 2023년 이후 2년 연속, 전국 20개 과학고의 진학률은 1.7%로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각각 하락했다.
이공계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2020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가 최근 하락세로 반전했다.
2020학년도 대입에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6.9%였으나 2021년 7.5%, 2022년 8.8%, 2023년 10.1%까지 상승했다. 이후 2024학년도 6.9%로 하락세로 돌아선 후 올해 2.5%로 2년 연속 하락했다.
과학고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020학년도 1.5%에서 2021년 1.8%, 2022년 2.9%로 상승했다가 2023년 2.2%로 꺾인 뒤 2024년(2.1%)과 올해(1.7%)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의약학 계열 지원율 역시 영재학교는 2023학년도 20.0%에 달했으나 2024년 13.6%, 올해 5.4%로 2년 연속 떨어졌으며, 과학고는 2022년 15.4%에서 올해 5.8%로 3년 연속 내려갔다.
교육부는 "2020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영재학교·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 추이가 하락 추세로 전환했다"며 "교육부와 전체 영재학교가 2021년 4월 '의약학 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한 후 영재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진학 지도를 지속해서 강화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제재안에 따르면 영재학교 졸업생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할 경우 교육비를 반납해야 한다. 또 영재학교 진학 후 수시모집으로 의대에 지원하려면 영재학교의 내신 산출 방식을 일반고 적용 기준으로 재산정해야 하는 등 상당히 불리하다.
과학고도 영재학교의 의약학 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준용해 자율적으로 제재 방안을 운영하고 있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교육부는 앞으로도 영재학교·과학고와 협력해 졸업생들의 진학 추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이공계 진로·진학 지도 강화, 학교 운영 성과 평가 등을 통해 이공계 인재 양성 교육이 보다 충실하게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입시업계에서는 이번 교육부 조사 대상에 N수생은 빠져 있어 실제 영재학교 및 과학고 출신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더 높을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과학고 재학생들의 학업 중단과 전출 규모가 2022년 57명, 2023년 64명, 2024년 69명 등 매년 늘고 있는 배경에 '의대 진학'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종로학원은 "과학고와 영재학교는 커리큘럼의 50∼70%가 수학과 과학에 편성돼 수능 준비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이들은 조기 졸업 혹은 졸업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에 진학한 뒤 수능 준비를 새로 해서 의대에 진학하는 경로를 밟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 감소가 일시적인지, 추세적 흐름인지는 당분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sungjinpar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