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IOC, 베를린 올림픽 銅 남승룡 '일제 치하' 역사적 설명 추가

by


홈페이지서 남승룡 등 한국인 8명 선수 약력에 반영



(서울=연합뉴스) 이동칠 기자 =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남자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딴 고(故) 남승룡의 약력에 일제 치하 시절의 역사적 배경 설명을 추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IOC는 홈 선수 약력 코너에서 남승룡의 이름을 일본식(NAN Shoryu)으로 표기하며 한국 이름인 남승룡(Nam Sung-Yong)을 병기하고 "당시 한국이 일본의 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 이름으로 기록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남승룡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 출전해 금메달을 딴 故 손기정에 이어 3위로 메달을 목에 걸었다.



2023년엔 대한체육회의 대한민국 스포츠영웅에 선정되기도 했다.
1932년 제8회 조선 신궁 경기 대회 마라톤 1위, 1933년 제20회 일본 육상 경기 선수권대회 마라톤 2위 등 업적을 이뤘고,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선 故 서윤복의 페이스 메이커로 함께 뛰기도 했다.
기존에는 손기정만 한국식 영문 이름과 함께 역사적 배경 설명이 돼 있었고, 남승룡 등의 약력에는 설명이 빠져 있었다.
대한체육회와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은 IOC에 일제 시절 활동한 선수들의 한국 이름으로 변경 등을 지속해서 요구해 왔다.
IOC는 1980년대 중반 이 사안을 자체적으로 논의했으나 '그 당시의 조직위원회의 기록에 따른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한국식 영문 이름으로 수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대신 일제 식민지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설명하고 그 부분에 한국 이름을 병기하는 방법을 택했다.



체육회 관계자는 "남승룡 선생의 역사적 배경 설명은 작년 11월까지는 없었는데, 올해 3월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손기정, 남승룡 외에 1932년 LA 올림픽 마라톤에 나섰던 김은배, 권태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농구의 이성구, 장이진, 복싱의 이규환, 그해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김정연, 이성덕의 약력에도 역사적 설명이 추가됐다.
chil881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