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李대통령, 재계와 '원팀모드' 다지며 트럼프 대좌 준비 박차

by


韓美 통상 세부협상 앞두고 '파트너' 기업과 팀워크 점검하며 협조 당부
'동맹현대화' 고민 계속…주미대사 등 내정하며 외교라인 정비 속도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엿새 앞둔 19일 재계와 '팀워크 다지기'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세부 내용을 조율할 관세협상의 최종 결론에 따라 한국 경제의 앞날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원팀 모드'를 강조하며 협조를 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순방 일정에 동행하는 경제단체장과 기업인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재계 고위 인사들이 총출동했다.
이날 간담회는 한미회담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두 개의 대형 의제 중 '관세 세부협상'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달 말 타결한 협상에서 3천500억 달러라는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하는 대가로 일본이나 유럽연합(EU) 등 주요 경쟁국들과 동등한 수준인 15% 상호관세율을 관철했다.
이 과정에서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는 등 '지원사격'에 나선 것이 협상의 지렛대로 작용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그간 대미 협상 과정에서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세부 협상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은 만큼 이 대통령은 정부의 향후 협상 전략을 공유하면서 기업인들에게 마지막까지 지원에 나서 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간담회에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조선·반도체·자동차·방산·바이오·에너지 등 분야의 기업인들이 고루 참석했다.
재계 역시 향후 대미 투자에서 예상되는 애로사항 등을 전달하며 정부의 지원을 부탁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대통령은 관세협상 타결을 앞둔 지난달에도 삼성전자 이재용·SK그룹 최태원·현대차그룹 정의선·LG그룹 구광모 회장,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 등과 연달아 만난 바 있다.
이에 앞서 6월 13일에는 재계 총수와 경제단체 관계자들을 불러 간담회를 여는 등 취임 이후 재계와 꾸준히 접촉해 왔다.
국제통상 질서의 격변과 비상계엄의 여파로 가라앉은 경제를 살리고 '대한민국호'의 혁신과 성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이 대통령의 판단이 담긴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국익이 달린 대미 관세협상을 진행하면서 정부와 기업이 엇박자 없이 '원팀'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이 대통령의 인식은 더욱 강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이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의 또 다른 축인 안보 의제를 두고도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의 거센 '동맹 현대화' 요구에 직면한 가운데 한미동맹을 고도화하면서도 한반도 안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출국 직전까지 상당한 시간을 할애할 전망이다.
회담을 앞두고 외교라인 정비에도 속도를 붙이는 모습이다.
이 대통령은 초대 주미대사로는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을, 주일 대사에는 이혁 전 주베트남 대사를 내정하고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주재국의 동의)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ncwoo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