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광주시는 지난 1일부터 전면 시행한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순조롭게 정착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광주시는 지난 4월부터 4개월에 걸쳐 전체 102개 노선 1천44대 시내버스의 현금함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뒤 이달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했다.
지난 7월 기준 일평균 현금 또는 계좌이체 수입금은 0.3%로 시행 전인 3월 1.6%에 비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에는 일부 노선에서 현금함이 운영된 점을 고려하면 전면 시행된 8월부터 계좌이체 이용률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들은 교통카드가 없더라도 ▲ 운전원 안내에 따른 계좌이체 ▲ 선불 교통카드 구입 ▲ 정보무늬(QR) 코드 기반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을 통해 요금을 납부할 수 있다.
특히 어르신, 금융 저신용자, 외국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금 대체 수단을 다양화했다.
지난 4개월간 계좌이체 건수는 3만2천163건, 선불 교통카드 판매는 405건으로 집계됐으며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교통카드도 발급됐다.
K-패스 가입 건수도 2024년 12월 1천689건에서 지난 7월 8천111건으로 380% 늘었다.
광주시는 현금함 철거에 따라 연간 5억2천만원의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앞으로 계좌이체 운영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강화하고, 개인정보 수집·요금관리 등 운영 실태 점검과 타 지자체 사례 조사 등을 병행할 계획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 절차 간소화 등 개선·보완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cbebop@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