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88서울올림픽기념 2025 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21일 개막, 100여편 이상 발표에 800명 참가한다

by

[스포츠조선 노주환 기자]1988년 서울올림픽이 남긴 유산을 되새기고,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향한 대한민국의 비전과 스포츠의 미래를 함께 그려보는'제37회 88서울올림픽기념 2025 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가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서울에서 열린다. 학술대회는 서울올림픽파크텔과 한국체육대학교에서 개최되며 국내외 체육학자, 스포츠과학 전문가, 정책 관계자, 국제 스포츠기구 인사 등 약 80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체육학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하며 주제는 "1988에서 2036으로: 올림픽, 그 너머의 미래"이다. 대회는 서울올림픽이 대한민국 체육의 국제화와 스포츠 외교의 전기를 마련한 사건이었다는 점에 착안해 2036년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담론의 장으로 구성된다.

서울올림픽은 1980년 냉전 시대의 경계를 넘은 상징적 대회로 평가받으며, 체육을 통해 대한민국이 세계에 뚜렷한 인상을 남긴 계기였다. 그 이후 한국은 아시아 스포츠 강국으로 입지를 굳혔고, 스포츠과학·스포츠산업·국제협력 분야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 36년의 여정을 되돌아보며, 스포츠를 매개로 한 국가발전 모델을 다시 설계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단순한 학술 교류에 그치지 않고, 국가 스포츠 정책, 산업, 과학기술, 지역사회와의 연결성을 폭넓게 다루는 다학제적 플랫폼으로 기획되었다. 또 2036년 올림픽 유치 경쟁이 본격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의 준비된 역량과 체계적 비전, 스포츠 과학 기반의 리더십을 전 세계에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첫날에는 영국 에든버러대 이정우 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홍콩 스포츠연구소의 강얀 시(Gangyan Si) 박사, 일본 나라여자대학교 유지 이시자카(Yuji Ishizaka) 박사,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코쿤 텍(Koh Koon Teck) 박사 등 아시아 대표 석학들이 참여하는 특별세션이 예정되어 있다. 이들은 기술융합, 스포츠 거버넌스, 청소년 체육의 사회적 가치, 도시형 스포츠 전략 등 각국이 직면한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두번째 날과 마지막 날에는 스포츠의학, 운동역학, 체육교육, 장애인체육, 지역 체육정책, 디지털 트레이닝 등 총 16개 분과에서 100여편 이상의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특히 기후위기 시대의 스포츠 대응 전략, 지속가능한 올림픽 운영 모델, 포용적 체육 환경 조성 등 현장과 연결된 실천적 논의가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최관용 한국체육학회 회장(한국체대 교수)은 "서울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행사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스포츠를 통해 세계무대에 이름을 새긴 역사적 이정표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 정신을 이어받아, 학문과 정책, 기술과 실천이 결합된 새로운 스포츠 생태계를 그려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준비한 축사에서 "올림픽은 이제 단순한 경기를 넘어, 공동체 회복과 국제 협력, 환경 지속가능성을 아우르는 다층적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사람 중심 스포츠', '균형 잡힌 체육 생태계 조성'을 핵심 기조로, 스포츠복지 확대, 디지털 전환,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체육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면서 "학술대회에서 제시될 다양한 제안들이 향후 스포츠 정책의 설계에 귀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체육학회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는 미래 체육의 방향을 고민하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한자리에 모으는 자리다. 특히 청년 연구자들과 정책 실무자, 산업계 인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만큼 학문적 논의와 현장 적용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데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