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AI픽] AI 스타트업 투자, 한국선 여전히 '험난한 길'

by


"국내 투자 환경, AI 스타트업의 모험을 응원하지 않아"
AI 스타트업 간담회서 업계…"제2 네이버 나오려면 투자 환경 혁신 필요"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우리나라 모태펀드의 성공률은 너무 높습니다.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가 그렇게 많지 않은데 말이죠. 스타트업이 (대기업의) 외주업체가 되지 않으려 해도 이를 응원해줄 투자사나 기관이 많지 않은 현실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1일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투자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연 간담회에서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국내 투자업계가 실패를 용인하는 분위기를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디바이스 AI를 개발하는 김연석 제틱AI 대표는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은 여파도 있겠지만 1년도 안 된 기업이 투자받으려 하면 매출이 얼만지를 따지는 투자업계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오픈AI가 기업 가치가 어마어마하지만, 매출보다 비용이 수조 원 큰 상황에서 한국 같은 환경에서는 투자할 곳이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협업하면 매출은 쉽게 낼 수 있지만 대기업의 요구에 맞춰야 하는 한계가 있고 이는 글로벌 진출 등 다른 기회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액셀러레이터 회사인 와이앤아처 신진오 대표도 "최근 투자가 침체하니 청년 창업가, 스타트업의 도전 의지가 다소 꺾여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신 대표는 "세제 혜택으로 투자를 유인하기는 하지만 혜택이 오래 걸리는 문제 때문에 개인이 투자에 참여하기가 쉽지 않다. 더 많은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여행 관련 AI 기업 트립비토즈 정지하 대표는 "AI 발달로 한 나라의 부국강병이 데이터와 기업에 좌우되는 시대가 됐다"며 양질 데이터를 확보한 AI 스타트업을 국내에 어떻게 머물게 하고 성장시킬지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AI 인재가 이탈한다고 하는데 유일한 해결책은 스타트업을 키워 인재를 데려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한국인이 창업해 미국에서 한국 최초 글로벌 B2B 분야 유니콘(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으로 성공한 센드버드의 사례를 들며 "스타트업 AI 매출 상당 부분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에서 나올 수 있는데 국내 대기업은 SaaS 사용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아쉬워했다.
벤처캐피털인 퀀텀벤처스코리아 이동우 전무는 "최근의 AI 투자를 거품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지만 산업 구조가 변하는 시기에는 버블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AI 붐에서 제2의 네이버, 카카오가 될 회사가 스타트업 중에 나올 수 있다"며 코스닥전용펀드 조성 및 퇴직 연금 시장 참여 등의 투자 활성화책을 주문했다.
류제명 2차관은 "스타트업이 다양한 시도를 마음껏 해나갈 수 있는 투자 환경이 중요하다"며 투자업계, 공공 투자 부문 등 국가 전체적인 투자 선순환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과기정통부 우정사업본부는 간담회에서 향후 5년간 1조원 상당을 AI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s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