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청소년들의 식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간편하고 자극적인 맛의 초가공식품이 일상화되면서, 음식이 원래 지니고 있던 '영양의 구조'가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식품학에서는 이를 '식품 매트릭스'라고 부른다. 매트릭스란 영양소가 단순히 얼마나 들어 있는지가 아니라, 어떤 형태와 조합으로 존재해 우리 몸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의미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청소년기의 우유 섭취가 주목된다. 우유는 최소한의 가공만을 거쳐 본래의 매트릭스를 비교적 온전히 유지하는 드문 식품이다. 칼슘,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따로 놀지 않고 서로 돕는 구조를 이루며, 청소년 성장과 건강에 중요한 '영양의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다.
우유 속 단백질과 칼슘, 지방, 비타민은 각각 흩어진 조각이 아니라 서로 맞물린 퍼즐처럼 작동한다. 카제인 마이셀 구조 안에 칼슘이 결합해 흡수율을 높이고, 여기에 유당과 비타민D가 더해지면서 뼈 형성 효과는 배가된다. 지방 역시 지방구막 덕분에 안정적으로 소화·흡수된다. 이는 우유가 단순히 칼슘이 많은 음식이 아니라, 영양소가 서로 힘을 주고받는 살아 있는 매트릭스를 가진 식품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반대로, 가공 과정을 많이 거친 초가공식품에서는 이러한 매트릭스가 대부분 사라진다. 당과 나트륨, 인공 첨가물은 늘어나는 반면 원래 식품이 가진 영양 균형은 깨진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청소년이 즐겨 찾는 즉석섭취식품의 나트륨 함량은 평균 794mg에 달했고, 에너지음료 한 캔에는 세계보건기구(WHO) 하루 권장량의 70%에 해당하는 당이 들어 있었다. 실제로 중·고등학생의 고카페인 음료 섭취율은 최근 10년 새 7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초가공식품 섭취 비중이 높을수록 비만·지방간·인슐린 저항성 위험이 커진다는 국내 연구도 보고됐다.
이런 현실 속에서 우유와 같은 최소가공식품은 점점 소외되고 있다. 하루 한 번 이상 우유를 마시는 청소년은 5명 중 1명뿐이며, 15~18세의 칼슘 섭취 충족률도 60% 수준에 그친다. 영양섭취 부족률 역시 청소년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아 단순한 개인의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세대의 건강 격차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적 과제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우유의 매트릭스가 청소년 성장뿐 아니라 학습 집중과 정서 안정에도 기여한다고 강조한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우유는 청소년이나 수험생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집중력 유지와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된다"며 "단백질과 칼슘은 뇌 활동과 신경 안정에 관여하고, 트립토판은 수면 관련 호르몬 합성에 기여해 수면 질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