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MBK)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를 받게 됐다. 지난 3월 검사에 나선 이후 5개월 만이다. 홈플러스 사태는 2015년 홈플러스 MBK에 인수된 후 경영난이 심화하며 지난 3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을 말한다. MBK의 부실 경영과 과도한 재무부담 등이 사태 원인으로 꼽힌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MBK 본사에 조사 인력을 파견, 현장조사에 나섰다. 홈플러스 인수할 당시 펀드 출자자(LP)를 모으는 과정과 차입매수(LBO·대출로 기업을 인수하고 그 기업 자산·수익으로 상환) 방식으로 자금 조달한 부분 등 인수 전 과정 전반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공정한 거래가 있었는지 살펴보겠다는 것이다.
금감원이 MBK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제외한 나머지 위규(법, 규정, 제도 등에서 정한 기준을 어기거나 위반한 행위) 혐의만으로 제재에 나설 경우 경징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추가적인 위규 행위가 확인될 경우 중징계가 가능해진다.
금감원과 금융위는 지난 3월 검사에서 MBK 경영진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준비 작업을 숨긴 채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을 주로 살폈다. MBK와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채 단기채권을 발행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금융당국은 사전에 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며 MBK 관련자들을 검찰에 통보했다. 금감원은 검찰의 수사 결과가 나온 뒤 MBK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에 대한 제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지만, 지지부진한 수사로 속도가 늦춰지고 있다.
MBK에 대한 금융당국이 추가 조사가 이뤄진 데는 정부 차원의 입김이 있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홈플러스는 지난 13일 15개 점포를 폐점하겠다고 밝혔고, 홈플러스 노조는 지난 14일 MBK의 자구 노력이 없는 점을 지적하며 먹튀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홈플러스의 일부 점포 폐점 결정과 관련,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특히 대통령실도 금감원의 MBK 제재 등 현황 파악에 나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의 의지가 금감원의 MBK 재조사로 이어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이 원장은 지난해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시절 '투기자본 MBK 위탁운용사 선정 규탄, 국민연금 수탁자 책임 이행 촉구 기자회견'에서 "(국민연금이) MBK 파트너스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가입자인 국민에 대한 배임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한편 홈플러스는 지난 21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 13일 15개 점포의 폐점과 관련해 긴급 생존 경영전략 일환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임대료 조정 협상에 아무런 진전이 없어 순차적 폐점 준비에 들어가기로 한 결정은 홈플러스에 생계가 달려있는 10만 명의 직간접 근로자와 입점주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노력"이라며 "폐점 준비 점포 직원의 고용을 100% 보장 및 인근 점포로 전환배치와 소정의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당 점포에 입점해 계신 입점주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피도록 하겠다"며 "15개 점포의 폐점 일정이 결정되는 대로 모든 입점주 분들에게 향후 진행 계획 및 보상 방안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협의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