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믿을 건 유영찬밖에 없다" 했는데...그 마무리가 너무 불안하다, 정규시즌 문제가 아니다 [잠실 현장]

by

[잠실=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정규시즌 우승 문제가 아니다.

LG 트윈스의 무섭던 상승세가 끊겼다. LG는 31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키움 히어로즈전에서 5대6으로 패했다. 1-5로 밀리던 경기를 5-5 동점까지 만들었지만, 9회 오지환의 통한의 실책 여파로 결승점을 내줬다.

사실 오지환이 클러치 실책을 하는 바람에, 그쪽으로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었지만 문제는 마무리 유영찬의 난조였다.

유영찬은 등판하자마자 송성문에게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줬다. 볼이 스트라이크존 근처에 오지도 못했다. 제구가 완전히 들쭉날쭉.

직구 제구가 안되자 임지열을 상대로는 슬라이더 위주의 투구를 했다. 하지만 2S을 잡고도, 자신감이 떨어지며 유인구만 던지다 풀카운트까지 몰린 건 또 아쉬운 부분. 마지막 슬라이더 결정구로 헛스윙 삼진을 잡아 그나마 다행. 그러나 송성문이 2루 도루에 성공하며 위기에 처했다.

이주형 상대 또 초구 볼. 그러자 LG 벤치는 자동 고의4구를 지시했다. 그리고 키움이 주성원 대신 김태진 대타 작전을 써 역전 점수를 뽑아냈다. 김태진의 타구는 병살타성 타구였지만, 송성문의 오지환을 가리는 베이스러닝이 기가 막혔다.

그 전 마무리 투수가 주자를 모은 자체가 문제였다. 유영찬은 이틀 연속 불안했다. 하루 전 키움과의 경기에서도 1⅓이닝 안타 2개, 사구 1개를 내주며 1실점하며 위기에 몰렸다. 5-6까지 쫓긴 9회 2사 3루 상황, 유영찬은 이주형 상대 폭투성 포크볼을 땅에 꽂았지만 이주형이 피하지 않고 발에 공을 맞는 바람에 오히려 유영찬과 LG가 사는 상황이 됐다. 문제는 이날 역시 승부처에서 제구가 겉잡을 수 없이 흔들렸다는 점이다.

키움전 두 경기 뿐 아니다. 최근 세이브를 따내는 경기들에서도 불안감이 엄습한다. 20일 롯데 자이언츠전 삼진 3개를 잡으며 무실점 했지만, 안타와 볼넷을 1개씩 내줬다. 이어 23일 KIA 타이거즈전 2볼넷, 24일 KIA전 1⅓이닝 2안타 2볼넷을 내주고 점수를 주지 않은 게 신기할 정도였다. 그나마 실점을 하지 않으며 꾸역꾸역 막았는데, 키움 2연전에서 둑이 터져버렸다.

일단 2년 전 혜성같이 등장했을 때 그 강력했던 구위가 아니다. 직구 구속이 140km 후반대는 찍히는데, 처음부터 존을 벗어나니 위협적이지 않다. 묵짐함도 사라졌다. 130km 중반대 슬라이더도 날카로움이 떨어진다. 자기 공에 대한 믿음이 없을 때, 도망가는 피칭을 하는 투수의 전형이 나오고 있다.

정규시즌은 별 문제 없다. 블론 세이브가 나올 수 있고, 경기가 동점이 되거나 뒤집혀도 막강한 타선이 이겨내줄 수 있다. 1패의 영향이 그렇게 크지 않다.

하지만 LG는 우승을 노리는 팀이다. 단기전에서는 마무리가 무너지면 그 후유증이 정규시즌 경기의 몇 배다. 시리즈 흐름이 달라져버릴 수 있다. 염경엽 감독의 걱정은 유영찬 외에는 확실하게 1이닝을 믿고 맡길 수 있는 불펜이 없다는 것이다. 베테랑 김진성도 많이 던졌고, 김영우도 이제 성장하는 신인이다. 그 외 투수들은 구위, 제구가 불안하다. 그런 와중에 유영찬까지 흔들리면, LG도 위기를 맞이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가을야구에서는 이전의 그 압도적인 모습을 찾을 수 있게 염 감독도 고민을 해야할 때가 온 것 같다.

잠실=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