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결국 믿을 건 '김-영-찬' 뿐인가.
LG 트윈스가 파죽지세의 상승세를 타던 SSG 랜더스에 일격을 당했다. LG는 7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SSG와의 홈경기서 3대7로 패했다.
SSG전에 굉장히 강했던 선발 임찬규가 5이닝 5실점(4자책)으로 부진했고, 타선도 아쉽게 중요한 상황에서 상대 호수비에 걸리며 득점에 실패하며 4점차 패배를 당했다.
그래도 경기 후반 추가점을 내준 부분이 아쉬웠다. 8회초에 추가점을 주면서 끝까지 쫓아가며 올라가던 긴장감이 갑자기 풀려버렸다.
추격조가 SSG의 타선을 끝내 봉쇄하지 못했다.
임찬규가 5회까지 던진 뒤 6회초 이정용이 올라와 삼자범퇴로 잘 막아냈지만 7회초엔 장현식이 올라와 안타 2개와 볼넷으로 1사 만루의 위기에 놓였다. 함덕주가 구원 등판해 에레디아를 삼진, 한유섬을 중견수 플라이로 잡아 큰 산을 넘었다. 3-5, 2점차에서 7회말 1사 1,3루의 찬스에서 아쉬운 병살타가 나와 득점에 실패한 뒤 8회초 추가점을 내주며 결국 무너졌다.
8회초 등판한 박명근이 선두타자 고명준에게 허용한 2루수 내야안타가 결국은 발목을 잡았다. 이지영의 번트 타구가 떠서 포수 파울 플라이로 잡아냈고, 류효승의 3루수앞 땅볼에 1루 주자를 2루에서 포스아웃시켰으나 1루에선 세이프가 되며 2사 1루. 9번 정준재부터 2번 최지훈까지 3연속 왼손 타자가 나오게 되자 LG 염경엽 감독은 왼손 최채흥을 마운드에 올렸다.
그러나 최채흥은 정준재에게 우측으로 가는 2루타를 맞았다. 2사 2,3루의 위기에서 박서한에게 117㎞의 커브를 던진 것이 깨끗한 중전안타가 되며 주자 2명이 모두 홈을 밟아 3-7. 2점차의 접전이 4점차로 벌어지면서 승부의 추가 SSG로 기울었다.
LG가 8회말 SSG 투수 이로운을 상대로 선두 오스틴이 안타를 쳤지만 이후 3명의 타자가 모두 범타로 물러나면서 더욱 추격의 동력이 떨어졌고, 9회말엔 4점차로 세이브 상황이 아닌데도 마운드에 오른 SSG 마무리 조병현에게 삼자범퇴로 잡히며 경기 끝.
LG는 불펜진이 풍부하다. 그러나 확실한 필승조는 사실상 마무리 유영찬과 홀드 1위 김진성, 그리고 신인 김영우 등 3명 뿐이다. 장현식은 8월부터 보인 부진을 털어내지 못하고 있고, 이정용과 함덕주는 기복이 잦다. 시즌 초반 '미스터 제로'로 좋은 피칭을 보였던 박명근은 후반기에 부진하고, 백승현은 2023년의 모습을 아직 못찾고 있다. 접전 상황에서 확실한 믿음 속에 낼만한 투수가 지금은 3명 뿐인 셈이다. 그나마 김영우가 후반기에 크게 성장해 필승조에 안착한 것이 LG에겐 천금같은 행운이 됐다.
이날 LG가 패했지만 2위 한화 이글스도 삼성 라이온즈에 패하며 둘의 게임차는 여전히 5게임이고 LG는 매직넘버를 12로 줄였다.
남은 기간 동안 LG는 필승조를 얼마나 더 만드느냐가 중요해졌다. 2023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LG는 선발 최원태가 1회초 강판됐지만 이정용 정우영 김진성 백승현 유영찬 함덕주 고우석 등 7명의 불펜 투수가 KT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끝내 역전승을 거뒀다. LG는 그해 선발이 강하지 않았지만 최강 불펜으로 정규리그와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룰 수 있었다. 올시즌은 반대로 선발진이 강하고 불펜이 약하다. 그나마 홀드왕 김진성에 2년 연속 20세이브를 달성한 유영찬이라도 안정적이었기에 10개 구단 중 가장 적은 12번의 블론세이브만을 기록하며 1위를 지킬 수 있었다. 잠실=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