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원자로 시뮬레이터로 기능 검증…"하나로에 적용 추진"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에어전틱 인공지능(AI) 기반 에이전트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사용자를 조력하는 현재의 생성형 AI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한다.
현재의 AI가 원자로 상태를 진단하고 냉각재 펌프를 가동하는 등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수준이라면,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현재 상태를 진단해 보고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완화 전략을 세워 시행하는 등 복잡한 지시도 스스로 판단해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원자로 운전 지원 AI 에이전트는 운전원이 여러 업무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도 간단한 지시를 통해 다양한 운전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원자로 이상 발생 시 신속히 감지하고 운전원에게 진단 결과를 브리핑하는 등 단순한 프로그램을 넘어 '보조 운전자' 역할까지 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배포하는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시뮬레이터인 'iPWR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기능 검증도 완료했다.
iPWR 시뮬레이터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시뮬레이터로, 이번 실험에서 감시·제어·이상 진단·상태예측 등 다양한 요청에 성공적으로 응답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자체 개발한 원자력 분야 특화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LLM) '아토믹GPT'(AtominGPT)와 연계해 성능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이후 고정밀도 시뮬레이터로 성능과 신뢰성 검증을 거쳐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원자력연은 지난달 AI 에이전트 관련 기술 일부를 엠에스아이랩스에 기술이전 했다.
이번 개발에는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유용균 실장과 김승근 선임연구원을 비롯해 염승돈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석사과정 학생, 차주원 UST 석박사통합과정 학생, 이윤표 한양대 학사과정 학생 인턴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뉴클리어 엔지니어링 앤 테크놀로지'(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 지난달 실렸다.
유용균 실장은 "차세대 원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에이전틱 인공지능이 필수적"이라며 "연구개발을 지속해 차세대 원전 맞춤형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