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세계 최강' 韓 양궁 세계선수권 절반의 성공과 숙제, '아차'하면 끝→철두철미 준비 "회장도 적극 챙긴다"

by

'아차'하면 끝난다. 대한민국 양궁 대표팀은 지난 12일 광주 5·18 민주공원에서 끝난 2025년 광주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기대감이 컸던 게 사실이다. 이번 대표팀은 '어벤저스'로 불릴 만큼 매서운 실력을 자랑했다. 특히 남녀 리커브 궁사들은 국제대회에서 연달아 긍정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김우진(청주시청)-이우석(코오롱)-김제덕(예천군청)이 나선 남자팀은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냈다. 여자부 안산(광주은행)은 도쿄올림픽, 임시현(한국체대)은 파리올림픽에서 각각 3관왕을 차지했다. 강채영(현대모비스)은 '원조 에이스'로 큰 대회에서 굵직한 성과를 냈다. 더욱이 한국은 2009년 울산대회 이후 16년 만에 안방에서 대회를 치르게 됐다. 홈팬들의 일방적 응원 속 금빛 레이스가 예상됐다.

시작은 좋은 듯했다. 먼저 치러진 컴파운드 예선에서 뜨거운 손끝을 자랑했다. 남녀 대표팀은 예선 라운드에서 단체전 3종목 모두 1위에 올랐다. 하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남자 개인전에서 '맏형' 최용희(현대제철)가 동메달을 따낸 게 컴파운드 대표팀의 유일한 메달이었다.

리커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남녀 대표팀은 예선 라운드에서 남녀 개인전과 단체전 등 5종목에서 모두 선두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여자 대표팀과 김우진-안산이 짝을 이룬 혼성 단체전은 나란히 세계신기록을 작성했다. 일각에선 전 종목 석권도 가능하단 예상이 나왔다. 하지만 한국 리커브는 금메달 2, 은메달 1, 동메달 3개를 챙겼다.

기보배 KBS 해설위원은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은 차이가 있다. 참가 인원부터 다르다. 결코 쉽게 볼 수 있는 대회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몇 년째 지속된 '평준화' 흐름이 이번 대회에서도 이어졌단 평가다. 그동안 리커브는 한국의 독주 속 미국, 중국의 추격이 거센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선 스페인이 혼성 단체전과 남자 개인전에서 금메달 2개를 가져갔다. 2년 전 베를린 대회에서 노메달에 그쳤던 일본은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챙겼다. 여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강채영은 "10년 전부터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했다. 금메달을 목에 걸기가 정말 쉽지 않다. 예전보다 내 실력이 많이 올랐고 단단해졌지만, 다른 나라 선수들도 똑같이 실력이 오르고 단단해졌다"고 했다.

장영술 대한양궁협회 부회장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보는 게 맞다. 컴파운드와 리커브 모두 남녀 예선 라운드에서 좋은 성적을 냈다. 충분히 가능성을 봤다. 하지만 (토너먼트에선) '아차'하면 떨어진다. 이번 대회를 거울삼아 더 완벽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당장 2026년 아이치-나고야아시안게임, 2028년 LA올림픽 등을 앞두고 있다. 장 부회장은 "지난해 올림픽이 끝난 뒤 곧바로 대책 회의를 했다. 회장님 주재로 감독, 선수 등이 모여서 얘기를 나눴다. 이후 LA올림픽 대비 답사도 다녀왔다. 세계선수권이 끝나면 또 바로 회의를 한다. 더욱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