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케데헌 돌풍과 IP 독점' 정책토론회…"콘텐츠 투자환경 조성 중요"
(서울=연합뉴스) 조다운 기자 = 세계적인 인기몰이 중인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같은 K-콘텐츠의 흥행에도 국내 콘텐츠 업계가 결실을 제대로 못 누리는 시장 구조를 타개할 방안을 놓고 국회에서 토론회가 열렸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15일 국회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 글로벌돌풍에도 한국은 빈손?-지식재산권(IP) 주권 전략과 과제 정책토론회'를 열고 IP 활용 전략의 수립 및 콘텐츠 사업의 확장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 의원은 개회사에서 "K-콘텐츠는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지만, 글로벌 플랫폼이 유통망을 장악하고 IP 산업을 독점하는 구조 속에서 오늘날의 결실이 과연 우리 산업과 창작자에게 돌아오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외 성과를 국내산업과 창작자 권익으로 환류시키지 못한다면 오늘의 결실은 반짝하는 성과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서면 축사를 통해 "경쟁력은 IP에서 나온다"며 "K-콘텐츠 제작사 및 플랫폼이 IP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다채롭고 우수한 신규 콘텐츠에 과감하게 투자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이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K-IP 가치공유 펀드'를 조성하고 콘텐츠 IP를 활용한 뷰티, 식품 등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발제 토론에서 IP 산업 전략을 콘텐츠 확보에서 콘텐츠 활용으로 확장·개편하고, '라이선싱'을 통한 패션·식품·화장품 등으로의 사업 확대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종합토론에는 김성은 문체부 문화산업정책과장, 박인남 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본부장, 강태욱 태평양 변호사, 배대식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총장이 참석해 IP 주권 확보 전략과 플랫폼 생태계 재건 방안 등을 논의했다.
allluc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