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항일 민족문화운동가 차상찬 학술대회·전시회 26일 개막

by


언론 자유운동 100주년 기념…김유정문학촌 기획전 초청전시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춘천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언론인이자 민족문화운동가로 활약한 청오 차상찬 선생(1888∼1946)의 업적을 기리는 학술대회가 26일 강원 춘천시 한림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다.

특히 이날 행사는 '언론 자유 운동 100주년 기념'의 의미를 담았다.
'개벽사'를 이끈 정론직필의 언론인 차상찬 선생은 1925년 3월부터 준비위원으로 추대돼 '전조선 기자대회' 개최를 결정한 데 이어 당시 서기를 맡아 언론 자유를 위한 5개 항의 결의문 채택을 주도하는 등 일제의 언론탄압에 앞장서 저항했다.
학술대회는 사단법인 차상찬기념사업회를 비롯해 차상찬학회. 한림대 도헌학술원과 아시아문화연구소가 함께 행사를 주최, 주관한다.
지난 2016년부터 11번째 열리는 정기학술대회로 기조 발표와 3개의 주제 발표로 진행된다.
기조 발표는 허준구 강원문화예술연구소장이 '차상찬과 지역학'이라는 주제로 차상찬 선생이 근현대 지역학의 개척자라는 관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양한 제시를 한다.
주제 발표는 김신정 교수(호남대)의 '해동염사의 여성 담론 연구'으로 시작돼 이민규 교수(강원대)의 '차상찬과 한국야담사화전집에 대한 재조명', 노승욱 교수(한림대)의 '청오 차상찬의 문화콘텐츠적 활용 방안 연구'로 이어진다.
토론은 유정월 교수(홍익대), 이승은 교수(고려대), 박정애 교수(강원대)가 나선다.
학술대회에 앞서 국제회의관 로비에는 김유정문학촌의 기획전 '시대를 기록하다 : 차상찬과 김유정'을 초청한 전시회가 마련된다.
풍자와 해학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당시 민중의 애환에 큰 관심을 가진 두 사람의 관계를 조망하는 흥미로운 주제로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김유정문학촌에서 진행된 전시다.

차상찬 선생은 고향 후배인 김유정이 문단에 데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김유정의 첫 소설 '산골나그네'가 차상찬이 발행과 편집을 맡은 잡지 '제일선'을 통해 발표된 이래 '신여성'과 '개벽' 신간에 '총각과 맹꽁이', '금 따는 콩밭'이 실리도록 지면을 제공했다.
행사 관계자는 "춘천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대표적 언론인인 청오 차상찬 선생의 업적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학술대회를 통해 언론 자유 운동 100주년 기념의 의미를 담은 행사"라고 말했다.
ha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