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양우진 거르고 김주오' → 이게 왜 논란인가. 두산도 LG도 '최선의 판단' 내렸다

by

[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두산 베어스가 1라운드에 외야수 김주오(마산용마고)를 지명하자 '깜짝픽'이라고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애초에 야수를 원했던 두산 입장에서는 지극히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물론 변수는 있었다. 팔꿈치 피로골절 이력을 가진 양우진(경기항공고)이 8번까지 내려온 것이다. 아무리 타자를 노렸다고 해도 최대어급 에이스가 남았다면 노선을 틀기도 한다. 결국 야구는 '투수놀음'이기 때문이다.

우선 양우진이 왜 전체 7번까지 내려왔느냐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양우진은 150km 강속구를 펑펑 꽂는 우완 정통파다. 그리고 올해 팔꿈치 부상 꼬리표가 붙었다. 현장에서는 신인을 뽑을 때 내년 즉시 전력감인지, 대기만성할 잠재력 자원인지를 구분한다. 양우진은 부상은 둘째 치고 후자에 가까웠다. 가능성은 어마어마한 선수이지만 당장 2026년 1군에 유의미한 전력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이야기다.

이 때문에 애초에 양우진을 뽑을 팀은 LG 밖에 없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LG는 현재로서는 '즉전감 투수가 필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마운드가 풍족한데 내년에는 김윤식이 군복무를 마치고 돌아온다. 메이저리그 도전을 선언한 고우석도 복귀 가능성이 있다. 긴 호흡으로 투수를 육성할 여유가 충분하다. LG는 수술을 받고 유급한 김영우를 키워냈다는 자신감도 있다.

다음으로 김주오가 2라운드 두산 순번까지 남을 확률은 제로에 가까웠다. 두산은 1라운드 7번에 김주오를 뽑았다. 2라운드는 17번이다. 최소 11번과 16번 사이에 김주오를 노린 팀이 있었다고 전해졌다. 당장 외야 리빌딩에 들어가야 하는 두산으로서는 1라운드에 양우진을 지명하는 것이 더 큰 도박이었다. 만에 하나라도 양우진의 성장이 더디다면 두산은 김주오도 놓치고 투수도 못 잡은 꼴이 된다. 반면 LG는 양우진이 천천히 커도 타격이 없는 팀이다.

실제로 올 시즌은 상위 순번에서 야수 경쟁이 상당히 치열했다. 2라운드 전체 20순위까지 투수가 12명 뽑혔다. 전면드래프트 최근 3년 중 가장 적다.

또한 즉시전력 투수들은 내년 드래프트에 훨씬 많다는 평가다. 두산은 올해 9위가 확실시 된다. 내년 신인드래프트 전체 2번을 예약했다. 최대어급 투수는 그때 뽑아도 된다.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