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임신부 타이레놀 복용, 자폐아 위험 높여"…트럼프 주장에 의학계·제조사 "뚜렷한 과학적 증거 없어" 반발

by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아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복용 제한 권고를 시사해 논란이 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의사들에게 통보할 것이라며, FDA가 극심한 고열 등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을 제한할 것을 강력히 권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FDA는 임신부가 타이레놀을 복용할 경우 자폐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다는 내용으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의 원료)의 라벨을 바꿀 예정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000년 대비 자폐증 유병률이 약 400% 늘었다는 통계를 제시하고 "타이레놀을 복용하지 말라. 아기에게도 주지 말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이어 "쿠바에는 타이레놀이 없어 자폐가 없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학설에 근거해 타이레놀과 자폐증을 연결 짓는 것은 무리라는 기자들의 지적에 "최소한 먹지 않으면 아무 일도 없다"는 논리로 반박하기도 했다.

백악관 역시 이날 공식 발표를 통해 임산부, 특히 임신 후기에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면 자녀에게 장기적인 신경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다수 제시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에게 권장되지 않는 이부프로펜 계열이나 나프록센 계열의 진통제에 비해 태아에게 안전하다는 이유로 임신부의 통증이나 발열에 대해 의사들이 처방해 온 약물이다. 그동안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오히려 자폐아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에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국적 제약회사가 미국인들에게 약을 비싼 값에 팔고 있다면서 이들과의 '전쟁'을 선포했는데, 타이레놀은 그 표적이 된 제약사 중 한 곳인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이 제조사다. 현재는 존슨앤존슨의 일반의약품 및 소비자 건강관리 사업부에서 독립된 상장회사로 전환된 켄뷰(Kenvue)가 생산·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 타이레놀과 자폐의 연관성에 대해선 뚜렷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논란을 불러올 수 있는 비과학적 주장을 반복적으로 했으며, 백신과 자폐증 간 허위 연관설과 유사한 맥락이 있다"는 의학계의 지적을 인용했다. 전문가들은 "유전적 영향이 자폐증 원인에서 지배적"이라는 점과 함께, 타이레놀 등 일반 진통제의 안전성에 대한 공포 조성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FDA를 비롯한 각국의 보건당국은 아직 뚜렷한 연관성을 찾지 못했으며, 미 산부인과학회도 타이레놀이 임신부에게 안전하다고 강조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타이레놀의 제조사인 켄뷰와 존슨앤존슨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증 위험 연관' 주장에 강하게 반박하며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켄뷰·존슨앤존슨은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 여성에게 필요한 진통제 옵션 중 가장 안전한 선택이며, 세계적으로 보건 당국과 의료계의 다수 연구·리뷰 결과 자폐증과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타이레놀은 FDA, 유럽의약청(EMA) 등 글로벌 규제 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발표 후, 켄뷰의 주가가 7% 이상 급락하는 등 시장에서도 즉각적 영향이 나타난 상황이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