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추석 대비 비상진료체계 유지…'응급실 뺑뺑이' 최소화 총력(종합)

by


정은경 장관 "비수도권 일부 응급실 연휴 공백 우려…의료체계 유지에 최선"
추석 전국 응급의료기관 413곳·권역외상센터 17곳 24시간 운영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보건복지부가 장기간의 추석 연휴 응급의료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면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진에 대한 보상을 늘리고,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로 불리는 환자 미수용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 기관과의 협조도 강화할 예정이다.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해 경증 환자는 가급적 동네 병의원을 찾아달라고도 당부했다.
정은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추석 연휴를 앞둔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장기간 추석 연휴의 응급의료체계를 잘 유지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달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하면서 병원들의 진료 역량이 상승하고 있으나,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은 다소 낮아 비수도권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연휴 기간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비상진료체계를 그대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추석 연휴 전국 응급의료기관 413곳과 권역외상센터 17곳 등이 24시간 공백없이 운영된다. 이외에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의 위치, 운영시간 등의 정보는 응급의료포털(e-gen), 응급똑똑앱, 콜센터(129)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해왔던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및 배후진료 수가 가산을 이번 연휴에도 유지할 계획이다. 권역·거점 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 중증·응급 수술 가산 200% 등 재정적 지원이 유지된다. 연휴에 문을 여는 병의원 및 약국에 대한 보상도 강화한다.
고위험 산모·신생아, 소아, 심뇌혈관질환 등에 대응책도 마련했다.
산모·신생아 응급상황에 24시간 대응하는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비상시 신속한 이송과 전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중앙응급의료상황실 내 산과·신생아 이송 전담팀도 꾸린다.
소아 환자의 경우 중증·응급은 소아전문응급센터 12곳, 중등증은 소아청소년과병원 3곳에서 24시간 진료받을 수 있다. 경증은 연휴 기간 계속 운영되는 달빛어린이병원 128곳에서 진료를 받으면 된다.
소아가 갑작스럽게 아플 때는 '아이안심톡' 사이트에 접속해 소아의 상태를 문의하면 소아·응급 전문의료인과 응급처치, 상비약 이용 방법 등을 24시간 상담할 수도 있다.
심뇌혈관 환자 대응을 위해서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곳,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곳 등 24곳이 24시간 돌아간다. 응급 시 기관·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를 적정시간 내 최종 치료가 가능한 곳으로 이송할 수 있게 협력도 강화한다.
수지접합, 골반골절 등 특수 외상에서는 연휴 중 당직 진료체계를 구축해 의료공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신속한 이송·전원으로 응급실의 환자 미수용 사례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전국의 6개 광역상황실은 119 구급대와 협력해 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신속하게 찾아내고 진료를 의뢰하기로 했다.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지역 내 병원과 진료 가능한 과목 등도 점검하기로 했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닥터헬기, 중증환자전담구급차 등 출동체계도 유지한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센터와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며 응급의료기관 413곳을 모니터링하면서 응급상황 발생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내 환자 이송 지침을 재확인하는 등 지역별 대응체계를 점검하기로 했다.
정 장관은 "정부는 각 지자체, 의료기관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장기간 연휴에도 의료서비스 이용에 빈틈없도록 준비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큰 병이 의심되면 즉시 119에 연락하시고, 그렇지 않은 경우 가까운 병의원 또는 중소병원 응급실을 먼저 방문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