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지난 4년 6개월 동안 훼손되거나 오염된 지폐와 동전을 13조5천억원어치 넘게 폐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은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은은 202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총 19억6천400만장의 화폐를 폐기했다.
액면가로 따지면 13조5천636억원 규모다.
이 중 지폐는 16억5천700만장, 13조5천25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주화는 3억700만장, 386억원이었다.
연도별로는 2021년 4억300만장, 2022년 4억1천300만장, 2023년 4억8천400만장, 2024년 4억7천500만장 등이었고, 올해 들어 6월까지는 1억8천900만장이었다.
화폐 사용이 점차 줄면서 지난해 폐기 수량이 감소했지만, 주화 폐기가 1억200만장으로 2023년(5천700만장)보다 배 가까이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
지난 4년 6개월 동안 폐기한 화폐를 전부 옆으로 나란히 늘어놓으면 총길이가 24만4천737km로, 경부고속도로(415km)를 295회 왕복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를 위로 쌓으면 총 높이가 67만9천292m로, 에베레스트산(8천849m)의 77배, 롯데월드타워(555m)의 1천224배에 달한다.
폐기 주화는 비철금속 생산 전문 업체 등에 판매해 수익을 얻지만, 폐기 지폐는 소각 업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처리한다.
한은은 지난 4년 6개월 동안 폐기 지폐를 소각하는 데 4억2천만원을 지출했다.
2021년과 2022년 각 1억1천만원, 2023년 1억2천만원, 2024년 7천만원 등에 이어 올해 상반기 1천만원을 썼다.
한은은 같은 기간 폐기 주화를 매각해 총 199억1천만원을 벌어들였다.
2021년 74억원, 2022년 37억9천만원, 2023년 10억9천만원, 2024년 63억8천만원, 올해 상반기 12억5천만원 등이었다.
박성훈 의원은 "현금 결제가 줄어드는 데도 매년 수억장의 지폐와 동전이 폐기되는 것은 심각한 낭비"라며 "손상 화폐 교환이나 폐기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은이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hanj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