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민경 기자] "오늘(9일) 태너 스캇은 경기장에 오지 않았다."
데이브 로버츠 LA 다저스 감독이 충격적인 대패 이후 미국 현재 취재진에 불펜 투수 태너 스캇이 경기장에 오지 않은 사실을 밝혔다. 개인 사정이라는데, 아직은 어떤 사정인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저스는 9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내셔널리그 디비전시리즈 3차전에서 2대8로 크게 졌다.
다저스는 필라델피아 홈에서 치른 1, 2차전을 모두 잡으면서 분위기를 타고 있었는데, 정작 다저스타디움에 오자마자 크게 지면서 분위기가 한풀 꺾였다. 이번 포스트시즌 4전 전승 무패 행진도 이날 끝났다.
믿었던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일찍 흔들린 게 첫 변수였다. 야마모토는 4이닝 6안타(1홈런) 1볼넷 2삼진 3실점에 그쳤다. 다저스 타선이 좀처럼 터지지 않는 상황이라 야마모토를 일찍 끌어내릴 수밖에 없었다.
다저스는 안 그래도 약한 불펜에 기대를 걸어야 했다. 로버츠 감독은 야마모토 이후 앤서니 반다(1이닝)-잭 드라이어(1이닝)에 이어서 클레이튼 커쇼를 투입했다.
커쇼는 7회에 5타자를 상대하면서 힘겹게 무실점으로 1이닝을 버텼다.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수비 도움이 없었더라면 실점도 가능했다. 무실점으로 버틴 게 천운인 컨디션이었다.
그런데도 로버츠 감독은 8회에 또 커쇼를 올렸다. 커쇼가 선두타자 JT 리얼무토에게 좌중월 솔로포를 허용해 1-4로 벌어졌다. 다음 타자 맥스 케플러는 볼넷, 닉 카스테야노스는 3루수 땅볼 실책으로 출루해 무사 1, 2루가 됐다. 홈런을 맞자마자 또는 볼넷을 줬을 때 이미 커쇼를 바꿨어야 했는데 로버츠 감독은 움직이지 않았다.
무사 1, 2루에서 브라이슨 스톳의 희생번트로 1사 2, 3루가 됐고, 트레아 터너가 우전 2타점 적시타를 쳐 1-6이 됐다. 그래도 커쇼를 바꾸지 않았고, 다음 타자 카일 슈와버에게 우월 투런포를 얻어맞아 1-8까지 벌어졌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됐는데도 커쇼를 계속 마운드에 방치했다. 커쇼는 브라이스 하퍼와 알렉 봄에게 추가 안타를 더 허용하고, 브랜든 마시를 중견수 뜬공으로 어렵게 처리하면서 겨우 마운드를 내려올 수 있었다.
7점차 패색이 짙은 9회초에는 필승조 블레이크 트레이넨을 마운드에 올렸다. 여러모로 이해가 되지 않는 투수 운용이었다.
경기 뒤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스캇을 왜 쓰지 않았나'라는 질문이 나왔다. 결국 로버츠 감독의 불펜 운용을 지적한 것.
스캇은 다저스가 올 시즌을 앞두고 4년 총액 7200만 달러(약 1021억원)를 투자한 특급 불펜이다. 다저스는 스캇을 마무리투수로 쓰려고 데려왔는데, 올해 정규시즌 61경기에서 57이닝 동안 23세이브, 8홀드, 평균자책점 4.74로 부진했다. 블론세이브가 10개나 됐다.
로버츠 감독은 결국 시즌 막판 어깨 부상을 회복하고 돌아온 사사키 로키를 사실상 마무리투수로 쓰기 시작했다. 스캇은 포스트시즌 로스터에 살아남았지만, 와일드카드시리즈와 디비전시리즈까지 5경기를 치르는 동안 단 한 경기도 등판하지 않았다. 전문 불펜인 스캇을 수납하면서 굳이 커쇼를 불펜으로 돌려 난타를 당하는데도 방치한 이유를 물은 것.
로버츠 감독은 이에 "스캇은 오늘 경기장에 오지 않았다"고 뒤늦게 밝히며 "개인 사정이 있다. 추후에 사정을 알릴 것이다. 그는 오늘 절대 등판할 수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로버츠 감독은 커쇼의 투구 내용과 관련해서는 "오늘 커쇼의 슬라이더는 그리 좋지 않았다. 슬라이더가 안 좋으면 어려움을 겪는다. 직구의 커맨드도 좋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김민경 기자 rina113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