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中 9월 수출 8.3%↑·수입 7.4%↑…시장 전망치 웃돌아(종합2보)

by


"對미국 수출 비중 10% 미만"…희토류 수출은 전월比 30.9% 급감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의 지난달 무역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깜짝 증가했다.
미국과의 전체 교역 규모는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인도 등으로의 수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 수출은 전월과 비교해 3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의 9월 수출액(달러 기준)은 3천285억7천만달러(약 469조8천879억원)로 작년 동월 대비 8.3%가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6.0%)와 8월 수출 증가율(4.4%)을 모두 상회하는 것이다.
9월 수입액은 2천381억2천만달러(약 340조5354억원)로 작년 동월 대비 7.4%가 늘었다.
수입 증가율 역시 시장 전망치(1.5%)를 크게 상회했으며 8월(1.3%)에 비해서도 크게 늘었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기도 하다.
이로써 중국의 올해 9월 전체 무역 규모는 총 5천666억8천만달러(약 810조9천190억원)로 작년 동월 대비 7.9% 늘었다.
9월 무역 흑자는 904억5천만달러(약 129조4천158억원)로 집계됐다.
올해 1∼9월 전체로 보면 수출액은 6.1% 증가했고, 수입액은 1.1% 감소했다. 1∼9월 전체 무역 규모는 작년보다 3.1% 늘었다.
중국의 9월 수출 증가세는 미중 무역합의가 아직 요원한 가운데 중국의 제조업체들이 미국 바깥에서 구매자를 찾은 덕분이라고 로이터는 짚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9월 대(對)미국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27% 감소해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기차·농축산물 등을 놓고 무역 분쟁 중인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은 약 14% 늘었다.
9월 중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56% 급증했으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로의 수출도 16%가량 증가했다.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 통신에 "중국 기업들이 비용적인 이점을 이용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라면서 "미국은 이제 중국의 직접 수출 비중에서 10% 미만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예고가 중국의 수출 부문에 압박을 더할 것임은 분명하나, 예전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소시에테제네랄의 미셸 람 이코노미스트도 블룸버그에 "미국의 관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다변화된 수출시장과 강한 경쟁력으로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는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이 보다 강경한 태도를 취하는 데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 국내 수요 부진이 여전히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추가로 어떤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또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에 미국의 관세 '맞불'로 갈등이 커질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돌파구가 나올 수 있을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세계 최대의 희토류 수출국인 중국은 9월에 희토류 약 4천t을 수출했으며 이는 8월에 비해 30.9% 줄어든 것이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계 수출은 4만8천355t으로,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은 올해 4월 중국이 미국발 관세 압박에 대응해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한 뒤로 급감했다가 6월까지 회복세를 보였다. 이후에는 계속해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컨설팅업체 트리비움차이나에서 핵심광물 연구를 총괄하는 코리 콤스는 로이터에 "문제는 중국이 미국이나 EU로의 수출을 제한했는지 여부"라며 "(수출 급감은) 허가제와 같은 하나의 동인이 아닌 여러 요인 때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전 세계 가공 희토류와 희토류 자석의 90% 이상을 생산한다. 17종의 희토류는 전기차에서 항공기 엔진, 군사용 레이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에 필수로 쓰인다.
다만 희토류가 수출 시장에서 변동성이 매우 큰 품목이며 이번 통계만으로는 구체적으로 어떤 희토류가 어느 국가에서 수출이 줄어든 것인지까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보다 세부적인 통계는 월 하순에 발표되는데, 지난 7월과 8월에 총 희토류 수출은 감소했으나 희토류 자석 수출은 증가한 바 있다.

suk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