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 550만∼650만대로 하향조정·HEV 등 기술대안 활용 요청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최대 980만대에 달하는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를 부품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조언이 자동차 업계에서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13일 정부가 논의 중인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목표'와 관련, 자동차부품업계 입장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
먼저 조합은 정부가 제시한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840만∼980만대·비중 30~35%)는 국내 산업과 시장 여건을 고려할 때 달성이 극히 어렵다며 현실을 반영한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제시한 980만대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4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가 사실상 전면 중단돼야 하나 국내 부품기업의 전동화 전환율이 19.9%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불가능한 목표라는 것이 조합의 설명이다.
조합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550만∼650만대(20% 내외) 수준으로 목표를 조정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조언했다.
또 국내 부품기업 1만여개 중 45.2%에 달하는 4천615개사가 엔진 등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것을 고려하면 급격한 전동화 전환은 일자리 감소로 직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조합은 전기차·수소차 중심의 획일적 전환을 지양하고, 하이드리드차(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탄소중립연료(e-fuel) 등의 다양한 기술 대안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연기관이 사용되는 하이브리드차와 e-퓨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를 감축 수단에 포함해 내연기관 부품기업에 전환 대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차 부품기업은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게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조합은 이러한 목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4가지 정책 지원도 요청했다.
▲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관련 예산의 조속한 반영 ▲ 미래차 재편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 및 요건 완화 ▲ 미래차부품 연구개발투자 R&D 자금 지원 확대 ▲ 생산기반 유지 및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이다.
특히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 전기차 생산 세액공제 도입,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등 국내 기업들의 안정적인 생산 경쟁력 유지 확보를 위한 방안이 중요하다고 조합은 전했다.
이택성 이사장은 "부품업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목표를 견지할 경우 부품 산업 공급 체계의 심각한 영향과 대규모 고용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며 "국내에서 생산된 전기차 중심의 보급과 다양한 기술 대안을 인정하는 정책으로 지속 가능한 전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