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美, 수입목재 10% 관세 발효…소파·주방찬장 등엔 25%(종합)

by


캐나다·베트남 등 큰 타격 예상…미국 주택시장 역풍도 우려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이도연 기자 = 미국이 14일(현지시간) 수입 가공 목재에 10% 관세 부과 조치를 발효했다.
AFP와 블룸버그 등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오전 0시(한국 시간 오후 1시)를 기해 수입 목재에 10%, 소파 및 화장대 등 천을 씌운 가구, 주방 찬장 등의 수입 가구에 25%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해당 품목을 수출하는 국가가 올해 안으로 미국과 무역 협정을 맺지 않을 경우 내년 1월 1일부터 천을 씌운 가구는 30%, 주방 찬장과 세면대는 50%로 관세가 오른다.
다만, 미국과 이미 협상을 타결한 영국의 경우 목제품에 10%의 관세가 적용되고,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세율이 15%를 넘지 않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을 통해 "상무부가 미국의 목재 수입의 양과 상황이 국가 안보를 훼손할 위협이 있다고 판단·제안했다"면서 국가 안보 등을 이번 관세 조처의 이유로 들었다.
이어 해당 조치가 "(목재 산업의) 공급망을 강화하고 산업 회복력을 증진하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목제품의 국내 설비 활용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관세와 관련해 미국에 목재를 대량 수출하는 캐나다와 대미 수출에서 가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베트남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캐나다산 목재는 기존 반덤핑·상계관세에 더해 이번 관세가 추가되면서 관세율이 45%에 달하게 됐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에 따르면 미국 내에 수입되는 연질 목재 중 85%가 캐나다산으로, 이는 미국 내 전체 공급량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미국의 주요 가구 수입국은 중국과 베트남, 멕시코인데 베트남의 경우 가구가 대미 수출의 10%를 차지하면서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낮은 두 국가보다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이번 조치가 주택 개조 비용을 상승시키고 신규 주택 구매 의욕을 꺾음으로써 침체기에 있는 미국 주택 시장에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주택 시장은 최근 수년간 높은 금리와 주택 공급 부족으로 거래량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NAHB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주택 건설에 쓰이는 자재의 약 7%가 해외에서 조달됐으며 이번 새 관세가 없는 상황에서도 2020년 12월 이후 건축 자재 비용은 3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디 휴스 NAHB 회장은 이번 관세가 주택시장에 "추가적 역풍을 불러올 것"이라면서 "모든 미국인의 물리적·경제적 안보에 있어서 주택의 역할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kik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