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의 수사팀 교체 주장 이유없어…4개월간 수사 착실히 진행돼 팀장 교체 불가"
"합수팀 출범 후 28곳 압수수색·피의자 22명 입건"…백 경정은 앞서 '해체' 주장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임은정 검사장이 이끄는 서울동부지검이 이재명 대통령 지시에 따라 백해룡 경정이 '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 수사를 위해 파견 올 경우 별도의 수사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동부지검은 14일 언론 공지를 통해 "백 경정은 수사외압·은폐 의혹의 고발인 또는 피해자의 지위"라며 "본인이 고발한 사건 등을 '셀프 수사'하는 것은 공정성 논란을 야기하는 등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백 경정이 파견될 경우 의사를 존중해 기존 합동수사팀과 구분된 별도 수사팀을 구성하되, 인천지검 마약 밀수사건 수사 은폐 의혹 등 백 경정이 피해자가 아닌 사건 수사를 담당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논란을 최소화하고 수사 과정과 결론 모두 국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부연했다.
동부지검 합수팀은 지난 6월 경찰, 국세청, 금융정보분석원(FIU) 등 정부기관 합동으로 출범했다.
합수팀의 지휘권은 지난 8월 대검찰청에서 서울동부지검장으로 넘어와 임은정 지검장이 수사를 이끌고 있다.
검찰은 "세관 마약밀수 연루의혹 합동수사팀은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수립 후 검찰·경찰·국세청·FIU 등 정부기관 합동으로 출범한 수사팀으로, 전 검찰총장이나 검찰이 개인적·독단적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부지검장은 지난 8월 합동수사팀에 대한 수사지휘권을 인계받아, 관련 수사기록을 면밀히 검토했고, 매일 수사팀의 수사상황을 챙기면서 수사팀의 수사역량과 의지를 확인하고 깊이 신뢰하고 있으며, 현재 수사팀 구성원들과 원팀을 이뤄 함께 수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동부지검은 합수팀 출범 이후 인천세관, 경찰청, 서울경찰청, 관세청, 주요 피의자들의 주거지 등 2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했다고 밝혔다.
또 마약 밀수범 16명, 직권남용 피의자 6명 등 관련자 22명을 입건하고 주요 피의자의 휴대전화 42대에 대해 포렌식 및 통화내역 분석 등을 실시했다고 덧붙였다.
합수팀장이 2023년 2월 서울중앙지검 근무 당시에 마약 밀수 사건 수사를 무마하는 데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그가 해당 사건 수사나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임 지검장이 확인했다고 전했다.
동부지검은 또 백 경정이 주장하는 기존 합수팀 해체 및 수사팀 교체 주장 등에 대해선 "아무런 이유가 없으며, 이미 4개월간 방대한 수사가 착실히 진행돼 합수팀장을 교체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동부지검은 대통령의 지시를 접하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대검과 수사팀 보강 등을 논의 중에 있고, 수사에 더욱 만전을 기하여 조속히 마무리하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의혹 폭로자인 백 경정을 동부지검에 파견하고 수사 책임자인 임은정 지검장에게 필요할 경우 수사 검사를 추가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이란 윤석열 정부 때 경찰이 인천세관 공무원들의 마약밀수 범죄 연루 여부를 수사하던 중 당시의 대통령실 등으로부터 외압이 행사됐다는 폭로가 나오며 불거진 의혹이다.
백 경정은 앞서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동부지검에 파견 가는 것과 관련해 명령은 받들겠지만, 기존 합수팀에 들어가서 구성원이 될 수 없다"며 "기존 합수팀을 해체하고 새로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jungl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