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증권가도 10.15 부동산 대책 파장 주시…건설주 영향 촉각(종합)

by


"단기적 과열은 완화, 중장기적 상승세는 계속" 전망
건설주 영향은 엇갈려…"타격 제한적" vs "사업추진 느려질 것"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배영경 기자 = 16일 증권가는 서울 25개 구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으로 묶는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대책이 시장에 끼칠 파장에 촉각을 세웠다.
일단 증권가는 이번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 과열이 단기적으로는 완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 가격 조정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관련 보고서에서 "예상보다 넓은 지역에 토지거래허가제를 비롯한 규제 지역을 설정했다"며 "과거 정부의 핀셋 규제와 달리 풍선효과를 억제하려고 한 것이라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상승이 둔화할 것"으로 봤다.
그러나 "긍정적인 유동성 환경, 수도권 주요 시장의 제한적 공급에 대한 우려, 시장의 매물 감소 등으로 중장기적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겠지만, 향후 2년간 수도권 내 제한적 입주 물량을 고려할 때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대책이 건설업계에 미칠 파장의 크기에 대해선 의견이 조금씩 엇갈렸다.
이은상 연구원은 "건설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인 한편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주도의 착공 확대로 단기적으로는 시멘트 등 건자재업 전반의 물량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어 "주요 건설사의 3분기 분양물량은 2분기 대비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추세"라며 "현재 이주비·잔금 대출에도 6억원 한도가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수도권 아파트의 신축 물량이 제한적인 점이 분양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짚었다.
반면 신대현 연구원은 "9·7 공급대책이 공공 위주로 발표됐고 건설사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정책에 공급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낮아진 걸로 파악된다"면서 "여기에 이번 규제지역 확대에 따른 대출 규제와 전매 제한 등으로 도시정비 사업 확대에 추가적인 어려움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 민간 택지에도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할 수 있다"며 "서울의 경우 분양물량 80% 이상이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고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면 조합원들의 사업성이 훼손돼 사업 진척이 대폭 느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21년 이후 가파른 공사비 상승으로 전반적인 정비사업의 사업성이 2020년 이전보다 대폭 훼손된 점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분양가상한제 부담이 정비사업의 진행 속도를 추가로 더디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10·15 부동산대책으로 서울과 수도권 쏠림현상이 완화해 온기가 기타 지역으로 전해질 경우 건설사에도 일부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신대현 연구원은 "쏠림 현상이 일부 완화돼 수도권 외곽 지역과 비수도권으로 부동산 수요가 일부 옮겨갈 수 있다"면서 "건설사들의 착공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진투자증권 대체투자팀도 관련 보고서에서 "수도권 비규제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이 이어진다면 그동안 사업성 문제로 지연됐던 정비사업의 수익성이 회복되면서 사업 추진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tae@yna.co.kr
ykba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