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공공성 키워 국가대표 클러스터로

by


제5차 첨복단지 종합계획…지자체 중심 다른 클러스터와 차별화
공백 기술 R&D 지원·다른 지역 단지와 연계·협력 강화 등 추진

(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정부가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키우기 위한 종합 계획을 내놨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의료 연구개발과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년)'을 발표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다.
기업, 공공기관, 학교, 병원 등이 입주해 있고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신약 개발, 생산 등에 필요한 기술 서비스를 지원한다. 개별 기업이 막대한 비용을 인프라에 중복으로 투자하지 않고도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약물 독성·효능 평가 등 일부 과정을 위탁 수행해주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15년간 1조5천126억원의 재원이 투입된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가 기업 전주기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뒀지만, 다른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중심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와 차별화되는 정체성을 구축하지는 못했다고 평가했다.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 전체의 거점 역할을 하지 못한 채 지역 클러스터 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5차 종합계획에는 공공적 역할 중심의 연구개발(R&D) 강화, 국내 20여개 클러스터와 초광역 협력체계 구축 및 버추얼 플랫폼(시설·장비를 공유하는 가상의 플랫폼) 역할 수행,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등 단지 고도화를 위한 전략들을 담았다.
김한숙 보건산업정책과장은 "대구·오송 단지는 국가 주도로 조성한 클러스터로는 유일무이하다"며 "2010년부터 2038년까지 29년에 걸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계획이 반환점을 돈 상황이기 때문에 앞선 네 차례 종합계획을 통해 수립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 첨단 기술 서비스 수요와 정부의 클러스터 육성 방향을 반영해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시킨다는 비전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공공성 강화를 위해 민간 참여가 부족한 공백 기술 확보, 감염병 등 공중 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첨단의료복합단지 특화 프로그램형 R&D 사업 도입 등을 추진한다.
또 대구·오송 단지의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을 하나로 통합하는 등 단지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단지 내 입주기관이 다른 지역 클러스터의 인프라를 활용하거나 타지역 입주기관이 단지 내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그밖에 기술 서비스 다양화, 인허가·규제 지원 서비스 고도화, 창업·성장 지원 강화, 해외 클러스터와의 공동 사무소 운영,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신규 장비 도입, 전문 인력 양성, 첨단의료단지법 선진화, 정주여건 개선, 민간 투자 환경 조성 등을 위한 방안도 종합계획에 포함됐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제5차 종합계획을 통해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공공성이 강하되면 공공 위탁연구개발생산기관(CRDMO)으로서의 역할이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첨단의료복합단지가 국가대표 클러스터로서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omen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