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SNS) 사용이 인지 능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UCSF) 연구팀은 9~13세 청소년 6554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종단 연구 결과를 미국 의학 협회 저널(JAMA)에 게재했다.
연구는 미국 전역 21개 연구 센터가 참여한 '청소년 뇌 인지 발달 연구(ABCD)'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 패턴을 3년간 추적하고, 미국 국립보건원의 표준화된 검사법을 활용해 언어, 기억력, 처리 속도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평가했다.
연구 대상자의 57.6%는 소셜 미디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수준으로 사용했으며, 36.6%는 낮지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사용 패턴을 보였고 5.8%는 중독성 사용 및 지속적인 증가 그룹으로 구분됐다.
인지 기능 테스트 결과, 소셜 미디어 사용량이 높고 지속적으로 증가한 그룹은 언어 및 기억력 테스트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특히 이 그룹은 낮은 사용 그룹에 비해 인지 테스트에서 1.5~2배 정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사용량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은 그룹은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인지 성능을 보였다.
또한 고강도 사용 그룹은 구두 읽기, 시퀀스 기억, 그림 어휘 등에서 뚜렷한 저하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소셜 미디어가 단순한 화면 시청을 넘어 청소년의 인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과도한 소셜 미디어 사용은 우울증, 불안, 수면 장애 등 정신 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문제는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연령 제한 강화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관찰적 연구로 인과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수는 없으며, 향후 특정 플랫폼의 영향과 인지 저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