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고졸 청년, 졸업 후 3개월 지나면 좋은 일자리 구하기 어려워"

by


한국교육개발원 분석…"'스펙 쌓은 뒤 취업' 전략 안 통해"


(서울=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고졸 청년이 고교 졸업 후 3개월 이내에 취업하지 못하면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이 급격히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금종예 연구위원은 23일 '고졸 청년의 첫 일자리 이행 양상과 교육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연 온라인 설명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금 위원이 2021년 2월 고등학교 졸업 후 18개월간 대학에 진학한 적이 없는 792명을 분석한 결과 66.2%는 고교 졸업 직전부터 졸업 후 약 3개월 사이에 취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 상용직 ▲ 4대 보험 가입 ▲ 중위 임금 60% 이상 등의 조건을 갖춘 '괜찮은 일자리'를 얻은 사람은 전체 취업자의 35.5%에 불과했다.
고졸 청년 3명 중 1명은 졸업 후 1년 반이 될 때까지 취업하지 못했으며, 3분의 2는 안정성이 보장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는 의미다.
고교 졸업 후 18개월이 지나면 취업률은 급감했고 특히 괜찮은 일자리를 얻는 비율은 더 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청년이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할 확률은 졸업 전에는 약 4.27%, 졸업 직후엔 4.92%였다가 졸업 후 4개월에는 2.39%로 하락했고 그 이후에는 1% 안팎을 기록했다.
금 위원은 "고등학교 재학 중 진로와 취업 관련 경험이 괜찮은 일자리를 얻는 데 직접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졸업 후 스펙을 쌓은 후 취업하겠다는 전략이 잘 작동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금 위원은 고졸 청년들이 괜찮은 일자리를 얻는 비율이 적은 것과 관련해선 "고졸 청년이 얻을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수가 제한돼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에 더해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만큼 충분히 준비된 청년들의 수가 적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고졸 청년들이 졸업 전이나 직후 좋은 일자리를 구하도록 해 이들이 향후 미취업 상태나 저임금·비숙련 일자리로 향하게 될 가능성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 고등학교 입학 초기부터 진로 교육 강화 ▲ 진학·취업 준비 학생 '투 트랙' 지원 ▲ 취업 희망 학생 대상 실무·취업 역량 강화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금 위원은 또 "학교의 커리큘럼이 노동 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면서 "현재 노동 시장이 요구하는 진로 교육을 하기 위해 교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amb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