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돼 면역체계를 교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학술지 '유해물질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최근 실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다용 박사 연구팀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을 미세플라스틱 형태로 임신한 생쥐에 먹게 하자 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새끼의 체내로 이동해, 몸속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비장에 다량 축적된 모습이 확인됐다.
비장의 균형이 무너지면 감염병에 취약해질 수 있는데, 실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생쥐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와 NK세포(자연살해세포)가 줄어들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B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났다. 이와 함께 새끼 생쥐의 성장기 동안 항바이러스 면역 물질인 인터페론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저하된 모습이 지속해서 나타났다. H1N1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항바이러스 면역 물질 분비가 현저히 떨어지면서 바이러스 억제 능력이 크게 약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면역 저하가 일시적인 반응이 아니라, 면역 발달 과정 전반을 교란해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저항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이다용 박사는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넘어 면역체계를 교란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라며 "생활 속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