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병'은 사회적 순종을 강조하는 전통적 유교 문화와 한국인의 정서적 특질인 '한(恨)'이 결합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 질환이다. 
장기간 해소되지 못한 스트레스와 감정 억압으로 인해 몸속에 열이 쌓이며, 분노·불면·우울·대인관계 곤란 등 정신적 증상과 함께 열감·홍조·두통·가슴 답답함·호흡곤란 등 신체적 증상을 동반한다.
그동안 고유한 발병 기전과 정신병리적 특징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한국 문화권에서만 나타나는 불분명한 증후군으로 인식돼 왔으나, 최근 젊은 세대와 국내 외국인 환자에게서도 발생 빈도가 늘고 있다. 유병률은 4.2~13.3%에 이르며 중년 여성에게 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에 따르면 2022년 화병 환자 수는 1만1587명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채한 교수 연구팀, 경희대 한의과대학 강동한방병원 김종우 교수팀, 경성대 심리학과 이수진 교수팀 등 국내 연구진이 '화병(Hwabyung)'의 정신병리적 임상 특징을 규명한 연구 논문이 최근 국제 학술지 '바이오피지코소셜 메디슨' 온라인판 10월 30일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화병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한의학의 음양심리 이론을 표준화한 '사상성격검사(SPQ)'를 활용해 심신 증상과 생물심리학적 프로파일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화병 환자에게 높은 행동적 과민성·충동성(SPQ-B), 낮은 인지적 경직성·비관주의(SPQ-C), 낮은 정서적 고립·취약성(SPQ-E) 등을 확인했다. 화병이 문화적 상징만이 아닌 객관적 임상질환으로 이해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셈이다.
연구팀은 화병만의 독특한 정신병리 프로파일 발견을 통해 정신질환의 효과적인 맞춤형 치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