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최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확산 속도는 예년보다 훨씬 빠르다. 2025년 43주차(10월 19~25일) 기준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3.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3.9명) 대비 약 3배 이상 높아 10년 이내 최대 수준이다. 특히 7~12세(31.6명), 1~6세(25.8명) 등 소아·청소년층을 중심으로 발생률이 급증하면서 유행주의보가 예년보다 한 달 이상 앞당겨 발령됐다.
인플루엔자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단연 예방 접종이다.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어린이 등 고위험군은 물론 일반 성인도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해야 한다. 백신은 인플루엔자 감염뿐 아니라 합병증과 중증 진행 위험을 줄여주는 유일한 방어 수단이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윤진구 교수의 도움말로 인플루엔자에 대해 정리했다. 
◇인플루엔자, 감염력·전파력 매우 높아
인플루엔자(influenza)는 흔히 '독감'이라 불리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성 호흡기 질환으로, 매년 겨울철 유행한다. 감염력과 전파력이 매우 높아 짧은 기간 안에 지역사회 전체로 확산되며, 건강한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 임신부, 노인 등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 특히 위험하다. 바이러스 감염 후 평균 1~4일의 잠복기를 거쳐 갑작스러운 고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기침, 인후통,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 감기와 달리 전신증상이 강하고 회복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소아는 구토·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대부분은 3~4일 내 호전되지만, 고위험군의 경우 폐렴·중이염·심근염 등 합병증으로 악화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감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달라
감기와 인플루엔자는 모두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호흡기 질환이지만, 증상의 강도와 진행 속도에서 큰 차이가 있다. 감기는 주로 코나 목에 가벼운 염증을 일으키며, 콧물·코막힘·인후통 정도로 시작해 서서히 회복된다. 대부분 3~5일이면 증상이 호전되고, 고열은 드물다.
반면 인플루엔자는 전신을 침범하는 급성 바이러스 감염으로, 하루 만에 갑작스러운 고열과 근육통, 두통, 피로감이 나타난다. 일반 감기보다 훨씬 심한 몸살을 동반하고, 기침과 인후통이 오래 지속되기도 한다. 소아는 구토나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는 폐렴 등 합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높다. 또한 단순 감기와 달리 조기에 진단하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열과 심한 몸살이 나타나면 신속히 진료를 받고 인플루엔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확실한 방어는 예방 접종
인플루엔자는 매년 반복적으로 유행하지만, 올해처럼 빠르고 강하게 확산되는 시기에는 특히 고위험군의 감염 위험이 커진다. 노인·임신부·만성질환자뿐 아니라 어린이, 학생, 직장인 등 일상에서 많은 사람과 접촉하는 이들까지도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예방 접종은 단순히 개인을 보호하는 것을 넘어,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감염 확산을 막는 공동체적 방어막의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 예방백신은 접종 후 약 2주 뒤부터 면역이 형성되며, 한 번의 접종으로 한 해 겨울을 보호할 수 있다. 백신은 인플루엔자 감염과 전파 자체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감염되더라도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 발생을 크게 낮춘다. 올해처럼 유행이 빨라진 시기에는 늦지 않게 예방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방이 곧 치료이며, 백신이 가장 확실한 대비책이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