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한림대학교의료원(의료원장 김용선)은 9월 23일 스웨덴 웁살라대학교병원에서 열린 제14회 한림-웁살라 국제학술 심포지엄을 성료했다.
올해 심포지엄은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의학과 혁신적 연구'를 주제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노화 관련 신경퇴행 질환 진단, 노인 영양 전략, AI 기반 노인 돌봄 등 고령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발표됐다.
심포지엄은 웁살라대 H:손 홀름달 강당에서 오전 9시 45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열렸으며, 학교법인일송학원 윤희성 이사장과 웁살라대 안데스 하그펠트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강의가 진행됐다.
한림대의료원 측에서는 ▲한림대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최은경 소장이 'PAD 효소와 단백질 시트룰린화: 노화 및 신경퇴행에서의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김영은 교수가 '노화, 면역, 그리고 파킨슨병: α-시뉴클레인 병리에서 면역프로테아솜 활성까지' ▲한림대 생명과학과 김재진 교수가 'R-루프가 유발하는 유전체 불안정성: 암과 노화를 이끄는 핵심 메커니즘' ▲한림대 식품영양학과 박소현 교수가 '건강 노화를 위한 노인 영양의 이론과 전략' ▲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원동옥 교수가 'AI 기반 노인 돌봄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가능성과 도전' ▲한림대성심병원 이비인후과 이효정 교수가 '노인 보청기 환자를 위한 웹기반 청능훈련과 인지기능에 대한 뇌기능영상 연구'에 대해 발표했다.
웁살라대 측에서는 ▲공중보건·돌봄과학과 다그 셀린(Dag Sehlin) 교수가 '알츠하이머병 최초 질병 조절 치료제인 레카네맙 개발과 임상 사용 첫 해의 통찰' ▲공중보건·돌봄과학과 스티나 시뷔아넨(Stina Syvanen) 교수가 '노화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과 신흥 치료법에서의 환자 선별에 대한 함의' ▲면역·유전·병리학과 얀 두만스키(Jan Dumanski) 교수가 'Y 염색체 상실이 남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공중보건?돌봄과학과 피터 노르드스트룀(Peter Nordstrom) 교수가 '노화를 늦출 수 있을까? ? 건강한 노화 이니셔티브에서 얻은 교훈' ▲정보기술학과(이미지 분석 센터) 나타사 슬라도예(Natasa Sladoje) 교수가 '의료 분야 AI 모델: 이해와 신뢰' ▲의과학과 안나 노르드스트룀(Anna Nordstrom) 연구원이 '인공지능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가? AI-FFR을 통한 관상동맥 위험의 재정의'에 대해서 강연했다.
또한, 한림대 융합과학수사학과 박노섭 교수와 한림대 AI융합연구원 박성미 교수는 웁살라대 메리 알렌(Marie Allen) 교수팀과의 'AI 기반 범죄수사 및 과학수사 분야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 양 기관은 한림대 글로컬대학 프로젝트의 대표 추진과제인 융합클러스터 기반 지역-글로벌 연계 연구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학교법인일송학원 윤희성 이사장, 한림대 최양희 총장, 한림대 의과대학 유경호 학장, 한림대의료원 김형년 국제학술위원장(한림대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을 비롯해, 웁살라대 안데스 하그펠트 총장, 매츠 러헤드 수석부총장, 에바 티엔수 얀슨 부총장 등 양기관의 보직자 및 교수들이 참석해 학술·연구 교류를 이어갔다.
김형년 국제학술위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고령사회라는 인류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적 지혜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한림대의료원은 앞으로도 웁살라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노화 연구와 미래 의료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림-웁살라 국제학술 심포지엄은 2010년 처음 시작된 이후 양기관이 번갈아 주최해온 학술교류 행사로, 의학·생명과학·인공지능 등 다양한 연구주제에 대한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학술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