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인프라, 지역경제 활성화 도움"…일부는 반대 목소리 여전
(양산=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경남 양산시의 민선 8기 공약이지만 일반적으로 기피시설로 꼽히는 시립화장장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이례적으로 유치 경쟁을 벌여 눈길을 끈다.
6일 양산시와 상북면·강서동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지역에 화장시설이 없어 '원정 화장' 불편을 겪는 주민들을 위해 시립화장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이에 상북면과 강서동 주민들이 화장장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대체로 기피하는 화장시설 유치에 나서 고정관념을 깬 행보를 보인다.
상북면 오룡마을 장사시설 추진위원회 신춘배 회장은 "마을 100가구 주민 중 약 92%가 화장시설 유치에 찬성하고 있고, 시와 민간기업이 장사시설과 봉안당 등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인프라 확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상북면 추진위는 전날 양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명품 종합 장사시설'을 구축해 지역 복지 향상과 상북면의 균형 발전을 이끌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강서동 내 어곡동 장사시설 유치위원회도 화장시설을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어곡동 유치위는 지난달 29일 양산시청에서 "장사시설은 우리 삶을 마무리하는 데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양산시에는 시설이 없어 타지역으로 원정 화장을 다니는 상황이어서 시민 모두 화장장 설립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시민의 마지막 순간을 존엄하고 의미 있게 마무리할 수 있고, 떠난 이들을 추모하는 남은 가족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명품종합 장사시설이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는 입장이 담긴 회견을 했다.
이러한 이례적인 화장시설 유치 경쟁과 관련해 상북면에서는 기존 추모시설과의 경쟁 우려가 제기되고, 강서동에서는 비상대책위와 종교단체가 반대 집회를 여는 등 여전히 반대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유치 경쟁에 나선 주민들은 화장시설이 기피시설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필수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며 적극적인 유치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앞서 양산시는 2023년 '장사시설 수급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타지역에서 원정 화장을 해야 하는 시민을 위해 시립화장장 건립을 추진했다.
시가 추진하는 시립화장장은 화장로 6기와 예비 화로 2기 등 총 8기 설치를 목표로 한다.
시는 과거 화장장을 건립하려다 주민 반대로 무산된 전례를 고려해 주민 동의율 70% 이상을 확보한 지역을 대상으로 화장장 후보지를 공모했다.
기피 시설로 인식되는 화장장 건립을 위해 화장장 유치지역(마을)과 관할 읍면동, 반경 1㎞ 이내 주변 지역에 각 50억원 이내 주민지원기금 등을 연도별로 지원하는 인센티브를 내걸었다.
1차 공모에서 응모지 3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부결된 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2차 공모에서 상북면과 강서동이 1차 공모 내용을 보완해 다시 응모했다.
시는 두 곳을 대상으로 7월부터 부지 상태, 적합성 여부, 교통 등을 확인하는 타당성 용역을 진행 중이다.
타당성 용역이 끝나면 화장장 후보지별 제안 설명을 하고, 시 장사시설추진위원회는 현장 확인 등을 거쳐 연내 대상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는 이후 행정절차를 밟아 2027년에는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imag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