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단장 겸 예술감독 박정희)이 9년 만에 우리 연극으로 다시 중국 관객을 만났다. 국립극단 연극 '십이야'(원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각색·연출 임도완)가 지난 달 24~25일 중국 베이징 중간극장에서 막을 올렸다. 이틀 동안 2회 공연은 모두 전석 매진됐으며 774명의 중국 관객이 관람했다.
'십이야'는 2025년 '베이징국제청년연극제(Beijing Fringe Festival)'의 폐막작으로 초청됐다. 2008년 시작된 베이징국제청년연극제는 아시아 연극계의 창작 동력 공급과 세계적인 수준의 우수 연극 작품을 소개하기 위해 진행해 온 유서 깊은 공연예술 페스티벌이다. 베이징국제청년연극제에서는 지난해까지 중국 현지 연출가 225명의 430편의 작품이 무대에 올랐고, 전 세계 21개국 129편의 해외 작품이 장르와 국경을 초월해 예술적 영감을 나눴다. 18회째를 맞은 올해 연극제는 중국 베이징을 주 개최 도시로, 한국, 노르웨이,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폴란드 등 6개 국가가 함께 했으며 중국 국내 작품 12편, 해외 작품 6편이 상연됐다.
국립극단과 대전예술의전당이 공동제작해 지난해 초연한 '십이야'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동명 고전 희곡을 연출가 임도완이 각색한 작품이다. 실제로 '십이야'는 프로덕션 단계부터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작품의 얼개를 구성했다. 셰익스피어가 극작한 5대 희극 중 하나로 원작의 배경을 조선시대 농머리로 옮겨왔다. 봉산탈춤 등 한국무용이 적용된 유려한 움직임, 신명 나는 판소리와 랩 믹싱이 돋보이는 공연이다. 안무와 음악 외에도 무대, 의상 등에 한국 전통의 미학을 아낌없이 가미하고, 특히 한국의 팔도 사투리로 뱉어지는 셰익스피어의 명문들은 '십이야'의 놓칠 수 없는 백미다. 서양의 고전에 동양의 미감을 입히면서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부분들에는 소위 '힙'하다고 일컬어지는 현대적 감각을 더해 세대와 문화의 간극을 메웠다. 세계 인류가 사랑하는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원작으로 택한 것도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국립극단은 2016년 베이징 국가화극원 대극장에서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을 공연한 이후, 9년 만에 '십이야'로 다시 밟은 중국 땅에서 한국 연극의 세계화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번 중국 공연 '십이야' 역시 관객들의 뜨거운 열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틀 동안 2회 공연을 전석 매진시킨 공연은 상연 시작 전부터 포토월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극장을 가득 채운 관객들은 중국어로 표기된 자막을 빠르게 읽어내며 극의 흐름과 배우의 감정선을 놓치지 않고 반응했다. 동시 자막으로 대사의 뜻과 극의 서사를 이해해야 하는 관객들을 위해 의도적으로 이모티콘을 넣거나 극적 흐름에 따라 폰트 크기에 변주를 주는 등 무대 위의 유쾌함을 자막으로 전달하기도 했다. 일부 장면에서는 때로 자막이 나오기 전부터 관객들이 웃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웃음과 박수가 러닝타임 125분 동안 끊이지 않는 공연이었다.
임도완 연출은 "관객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공연에 집중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국과 중국의 웃음 코드가 잘 맞아 2회만 공연하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쉬울 정도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베이징국제청년연극제를 주관하는 베이징청년희극공작자협회 런위안 비서장은 "2010년 극단 죽죽의 '멕베스'와 2012년 양손프로젝트의 '개는 맹수다' 이후, 13년 만에 다시 '십이야'로 한국 연극을 초청하게 됐다. '십이야'는 배우의 신체 움직임이 돋보이고 동양적 요소가 짙게 더해진 연극으로 동일 아시아 문화권에 있는 중국 관객들의 충분한 공감과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에서도 이미 큰 성공을 거둔 공연이자 높은 완성도로 호평을 받은 작품인 점도 '십이야'를 초청작으로 선정하는 데에 중요한 결정 사유가 됐다"라고 말했다.
박정희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특정 국가와 문화를 넘어 연극이 인류가 함께 살아낸 시대와 인간 본연의 이야기를 한다면 언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연극과 창작자들은 이미 뛰어난 예술적 자질과 우수한 실력 지니고 있다. 변화에 빠른 적응력과 예술적 성장을 이루고자 하는 진보적인 태도도 한국 연극 프로덕션이 가진 장점이다. 해외 진출의 교두보를 놓는 데에 필요한 이러한 능력들이 이미 모두 갖춰진 가운데 한국 연극을 세계에 각인할 수 있도록 국립극단은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