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적 위기 해결·민간인 보호 강화 목적"
정부군 거부 결정에 실제 이행 여부는 미지수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아프리카 수단에서 정부군과 내전 중인 반군 신속지원군(RSF)이 6일(현지시간) 미국 등이 중재한 인도주의적 휴전안에 동의했다고 AP를 비롯한 주요 외신들이 보도했다.
RSF는 이날 성명에서 "미국,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가 제안한 인도주의적 휴전안에 동의한다"며 "휴전은 내전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해결하고 민간인 보호를 강화하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RSF는 지난달 26일 정부군의 서부 최후 거점이던 북다르푸르주 주도 알파시르를 장악한 지 11일 만에 휴전안에 동의했다.
RSF의 알파시르 점령 이후 현지에서는 즉결 처형과 강간, 구금 등 민간인 학살과 잔혹 행위가 이어진다는 전언이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은 지난 9월 이집트, UAE,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수단 평화 계획에 합의하고 수단 정부군과 RSF에 이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해왔다.
이 평화 계획은 우선 3개월간 인도주의적 휴전을 시작하고 나중에 영구적 휴전과 9개월간의 과도기를 거친 뒤 민간인 정부로 전환하는 내용이 골자다.
수단 정부군은 앞선 지난 4일 안보·국방위원회를 열고 미국 등이 제안한 3개월 인도주의적 휴전안을 논의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RSF와 전투를 계속하기로 했다.
정부군을 이끄는 군부 수장 압델 파타 부르한 장군은 성명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정부가 분쟁 종식을 위해 기울인 노력에 감사한다"면서도 "반군 제거를 위해 총동원령을 내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단 정부군의 한 관계자는 AP통신에 RSF가 점령한 민간 지역에서 철수하고 무기를 포기해야 휴전에 동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미라 아가립 주한 수단대사도 전날 서울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휴전 협상은 RSF가 민간 지역과 주택, 도시 등에서 철수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RSF가 동의한 인도주의적 휴전안이 실제 이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1956년 독립 이후 잦은 내전과 정치 불안을 겪은 수단에서는 정부군과 RSF 사이에 내전이 30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다.
수단 정부군은 동부와 북부·중부 권역을, RSF는 서부와 남부 권역 일부를 각각 통제하며 대치해왔으나 RSF가 최근 서부에서 권역을 확고히 굳히면서 양분 가능성도 제기된다.
유엔 등에 따르면 양측의 분쟁으로 지금까지 수단 곳곳에서 5만명 가까이 숨졌고 폭력 사태를 피해 집을 떠난 피란민도 1천200만명이 넘는다. 이 가운데 약 400만명이 차드, 이집트, 남수단 등 주변 국가로 도피한 것으로 추정된다.
hyunmin623@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