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코스피, 1.8% 내려 4,000선 내준 채 마감…코스닥도 하락(종합)

by


환율 급등, 외국인·기관 '팔자'…삼성전자·하이닉스 약세
자동차·방산·원전주도 하락…'3분기 최대 실적' 카카오는 상승

(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코스피가 7일 미국발 인공지능(AI) 거품론 재점화와 원/달러 환율 급등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하락해 종가 기준 4,000선을 내줬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72.69포인트(1.81%) 하락한 3,953.76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지난달 27일 사상 처음 종가 기준 4,000선을 돌파했으나, 10거래일 만에 3,900대로 밀려났다.
지수는 전장보다 62.73포인트(1.56%) 내린 3,963.72로 출발해 낙폭을 줄여 4,000선을 회복했으나 하락세로 돌아선 뒤 한때 3,900선마저 내주기도 했다. 이후 낙폭은 일부 축소됐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9.2원 뛴 1,456.9원을 나타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4천790억원 순매도하며 5거래일 연속 '팔자'를 나타냈으며, 기관도 2천281억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6천958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89억원 순매도했다.
이날 국내 증시는 재점화된 인공지능(AI) 업종 고평가 논란과 미국 일자리 급감 소식에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하방 압력을 받았다.
엔비디아(-3.65%)가 급락하면서 국내 반도체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덩달아 위축됐다.
아울러 이날 장중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수정 버전의 중국 수출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지수는 낙폭을 더욱 키웠다.
이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점도 외국인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전날 미국 증시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종목군이 부진했던 여파로 하락 출발한 후 단기적인 매물 소화 과정을 보였다"며 "특히 달러/원 환율이 1,450원을 넘어서며 원화 약세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31%)가 나흘째 내려 9만7천원대로 밀려났으며, SK하이닉스(-2.19%)도 58만원대로 내려섰다.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1.38%), 현대차(-1.86%), 기아(-1.70%), 두산에너빌리티(-1.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4.85%) 등도 하락했다.
반면 이날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공개한 카카오(3.46%)는 올랐으며 한화오션(3.09%), SK스퀘어(3.33%), 고려아연(2.30%) 등도 강세를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증권(-2.88%), 건설(-3.11%), 전기전자(-2.04%) 등 대다수 업종이 내렸으며 부동산(0.16%)은 올랐다.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21.36포인트(2.38%) 내린 876.81에 거래를 마치며 3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15.23포인트(1.70%) 내린 882.94로 출발해 한때 894.83까지 낙폭을 줄였으나 다시 하락폭을 늘렸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억원, 621억원 순매도했으며 개인은 949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알테오젠(-3.47%), 에코프로비엠(-4.37%), 에코프로(-6.44%), 레인보우로보틱스(-3.35%), HLB(-5.74%) 등이 내렸다.
펩트론(13.49%), 보로노이(0.49%), 케어젠(1.57%) 등은 상승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8조7천260억원, 9조5천81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프리마켓과 메인마켓의 거래대금은 총 9조9천453억원이다.
mylux@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