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전체 암 사망자의 약 22%(1만8646명)가 폐암으로 사망하면서,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를 기록했다.
폐암은 폐 조직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나뉜다. 그 중 비소세포폐암이 발생 폐암의 80-85%를 차지한다. 폐암 초기 증상으로 기침이 가장 흔하지만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질환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잦은 기침, 객혈,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조기에 진단하여 수술적 치료를 진행할 경우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55-80%가 이미 국소적으로 진행됐거나 전이가 일어난 상태에서 처음 진단을 받는다.
11월 폐암 인식 증진의 달을 맞아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임직원을 대상으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일상을 체험하는 몰입형 프로그램 '하루에 담긴 환자의 삶(A Life in a Day)'을 진행했다.
'하루에 담긴 환자의 삶(A Life in a Day)'은 베링거인겔하임이 매년 전 세계 지사에서 동시 진행하는 글로벌 사내 프로그램으로, 하루 동안 환자의 삶을 체험하며 환자의 신체적·정서적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환자 중심적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기획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임직원들은 24시간 동안 모바일 앱과 질환 시뮬레이션 키트를 활용해 각 상황별 알림에 따라 미션을 수행하며, 환자가 일상에서 겪는 불편함과 제약을 직접 체감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에서는 안나마리아 보이 사장을 비롯한 주요 임직원 8명이 폐암 환자 체험에 참여했다. 참여 임직원들은 모바일 앱의 안내에 따라 ▲호흡곤란 체험, ▲혈담 표현, ▲신체적 불편 등의 미션을 수행했다. 먼저, 빨대를 이용해 제한된 호흡 상태를 재현하며 폐기능 저하로 인한 답답함과 피로감을 경험했으며, 기침 시 발생하는 혈담을 거즈로 표현해 환자가 느끼는 불안과 공포를 간접적으로 체험했다. 또한, 가슴을 조이는 벨트를 착용하거나 쿨 시트로 체온의 변화를 조절하는 등 일상 속 환자들의 신체적 불편함을 체험했다.
이어 실제 비소세포폐암 환자가 겪는 심리적 부담과 사회적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시뮬레이션도 진행했다. ▲의료진 전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소세포폐암 확진 통보를 받고 치료 방향, 가족과의 논의, 남은 기대수명 등에 대한 설명을 듣는 과정부터, ▲직장 생활 시뮬레이션에서는 진단 후 회사에 알리거나, 휴직 및 퇴사를 고민하는 등 환자가 현실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상황을 체험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종료 직후 워크샵을 통해 체험 중 느낀 감정과 생각을 서로 공유하며, 실제 업무에서 환자 중심적 사고를 어떻게 실천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안나마리아 보이 사장은 "환자의 일상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공감이야말로 환자 중심 혁신의 출발점이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입장에서 일상을 체험하고, 환자들이 마주하는 현실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며 "이번 몰입형 경험은 환자에 대한 이해를 도왔을 뿐만 아니라, 베링거인겔하임이 추구하는 공감과 통찰, 진심 어린 돌봄에 기반한 혁신을 다시금 일깨워줬다. 앞으로도 베링거인겔하임은 환자 중심 접근을 지속 발전시켜, 환자의 치료 여정 전반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넘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