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우리나라 성인 34.4% 비만…10년만에 30% 이상 증가

by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의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2024년 성인의 34.4%가 비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 26.3%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자가보고 비만율이 약 3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사회생활을 활발히 하는 30대(53.1%)와 40대(50.3%)가 비만율이 높아 약 2명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2명중 1명(54.9%)이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하다고 답변했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77.8%, 여성 89.8%로 대부분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들 중에서도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13.0%, 여성 28.2%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실제 체형과 인식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우리나라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5명 중 3명(65%)이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고 했다. 체중조절 시도율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 사람은 남성 74.7%, 여성 78.4%로 대부분 체중조절을 시도했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들은 남성 42.0%, 여성 64.6%로 비만이 아닌 집단에서도 체중조절 시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고령층으로 갈수록 체중조절 시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지역별로 비만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36.8%)과 제주(36.8%)였으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29.1%)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전국 17개 모든 광역시도에서 비만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이 11.4%p 상승(2015년 25.4%→2024년 36.8%)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울산과 충남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은 2.9%p 증가(2015년 26.2%→2024년 29.1%)에 그쳐 가장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냈고, 대전과 강원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편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36.5%)는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비만 치료제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선행질환으로, 비만 관련 인식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말하면서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비만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건강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근거 생산을 강화하는 한편, 일선 보건소에서 근거기반 보건사업 정책수행을 할 수 있도록 만성질환 전문인력 교육(FMTP) 등을 수행하고, 지역 보건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