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그때는 맞고 지금은 왜 틀려" 'BBC' 확인! 반 다이크 도둑맞은 골…리버풀, PGMOL에 공식 항의→해명 요구

by

[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뿔난' 리버풀이 잉글랜드 프로경기 심판기구인 PGMOL(Professional Game Match Officials Limited)에 버질 반 다이크의 골 취소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며 공식 항의에 나섰다.

리버풀은 10일(이하 한국시각) 영국 맨체스터의 에티하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맨시티와의 2025~2026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11라운드에서 0대3으로 완패했다. 판정 논란은 전반 벌어졌다.

맨시티의 엘링 홀란은 전반 13분 제레미 도쿠가 VAR(비디오판독) 온필드리뷰 끝에 얻은 페널티킥을 실축했다. 16분 뒤 만회했다. 홀란은 마테우스 누네스의 크로스를 헤더로 응수, 선제골을 터트렸다.

리버풀은 전발 38분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캡틴' 반 다이크가 코너킥 상황에서 헤더로 동점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어이없게도 골은 취소됐다.

볼이 골문으로 향하는 방향에 앤디 로버트슨이 있었다. 로버트슨은 고개를 숙여 볼을 피했다. 심판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로버튼슨이 맨시티 수문장 잔루이지 돈나룸마를 방해한 것으로 판단했다.

동점골을 도둑맞은 리버풀은 결국 무너졌다. 맨시티는 전반 추가시간 니코 곤살레스가 추가골을 터트렸다. 후반 18분에는 도쿠의 쐐기골이 터졌다.

영국의 'BBC'는 11일 '리버풀은 반 다이크의 골이 인정되지 않은 결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PGMOL에 의견을 제출하며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다'며 '리버풀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모든 영상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로버트슨의 위치가 돈나룸마의 시야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납득할 수 없었다'고 보도했다.

그리고 'PGMOL의 수장인 하워드 웹에게 연락해 우려를 전달하기로 한 것은 이 사건이 이의 제기나 조사없이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리버풀은 반 다이크의 골이 오프사이드 규정 11조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11조에는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선수가 다음과 같은 행동을 했을 때만 처벌받는다고 규정한다. ▶팀 동료가 패스하거나 터치한 공을 플레이하거나 터치하여 플레이를 방해하는 경우 ▶상대방의 시야를 명백히 가리는 행위, 상대방에게 볼을 도전하는 행위,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가까이 있는 공을 플레이하려고 하는 행위 ▶상대방의 공을 플레이하는 능력에 명백히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는 경우'라고 즉시돼 있다.

아르네 슬롯 리버풀 감독은 이날 경기 후 폭발했다. 그는 "내 의견을 말씀드리기는 어렵다. 다만 적어도 내 생각에는 잘못된 결정이 내려졌다는 것은 명백하고 확실하다. 로버트슨은 골키퍼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았다"며 "경기가 끝난 직후 누군가가 나에게 골을 보여줬는데, 그 골은 지난 시즌 울버햄튼과의 경기에서 심판이 맨시티에게 허용했던 골이었다. 부심이 오프사이드라고 알리기 위해 깃발을 올리는 데 13초가 걸렸다. 그러니까 분명히 의사소통이 있었던 거다"고 분노했다.

슬롯 감독의 말대로 지난해 10월 맨시티와 울버햄튼전에서 비슷한 상황이 있었다. 베르나르두 실바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었고, 볼이 통과할 때 자세를 낮췄다. 골은 인정됐다. 2023년 9월 맨시티와 풀럼전에서도 나단 아케의 골 과정에서 마누엘 아칸지가 상대 골키퍼를 방해하는 듯 했지만 골 선언이 유지됐다.

그러나 반 다이크는 말을 아꼈다. 그는 "내가 뭐라고 하든 상관없다. 내가 하는 말은 보도될 거고, A매치 기간 내내 내 판정에 대한 언급만 나올 테니까. 나는 그저 우리가 졌다는 사실에만 집중할 거다. 판정이 유효했는지는 여러분들이 논쟁하라"라고 말했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