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수능] 10명중 8명 사회탐구…절정 달한 사탐런, 대입 당락 핵심변수

by


과탐 응시생, 수시 수능최저기준 어려워졌지만…실제 유불리는 따져봐야
"탐구영역 과목간 표준점수 격차 따라 정시 유불리 엇갈릴 것" 전망도

(세종=연합뉴스) 고상민 기자 = 13일 시행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최대 변수는 절정에 달한 '사탐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연계 수험생들이 과학탐구가 아닌 사회탐구 영역으로 대거 몰리면서 이에 따른 영역별 유불리가 대입 당락을 가를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수능 사회·과학탐구영역 지원자 가운데 사회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한 학생은 77.3%(41만1천259명)다.
최대 2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과학탐구영역 지원자 4명 중 3명은 사회 과목을 적어도 하나는 고른 셈인데, 이는 작년(62.1%)보다 무려 15.2%포인트(p) 높아진 수치다.
반면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은 12만692명(22.7%)으로 작년보다 7만명 가까이 줄었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수험생들은 탐구영역의 사회 및 과학 과목들 가운데 최대 2개를 자유롭게 선택해 치를 수 있었는데 수험생들은 통상 진학하고 싶은 학교와 전공을 고려해 선택과목을 정했다.
하지만 대학들이 자연계열 진학 희망자에게 내걸었던 과학탐구 응시 조건을 지난해부터 폐지하면서 자연계 수험생까지 사회탐구로 쏠리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특히 서울대를 제외한 상위 대학 의대와 이공계 학과가 '과학탐구 필수 응시' 조건을 완화하거나 아예 없앤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선택과목 제한 완화·폐지의 본 취지는 문·이과 융합형 인재 양성에 있다.
그러나 과학탐구 학습 난도에 부담을 느낀 수험생들은 학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회탐구로 쏠리기 시작했고, 이는 남아있던 과학탐구 응시생들조차 사회탐구를 선택하게 만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모집단이 큰 과목을 골라야 수능 등급 확보가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올해 과학탐구 지원자의 경우 수시 수능 최저기준 충족은 물론 정시 합격선 예측도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입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사회탐구 응시가 무조건 입시에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사회탐구 1·2등급 인원 자체가 늘면서 수능 최저기준 충족 숫자가 증가하고 과학탐구 응시생의 최저기준 충족 규모는 줄겠지만, 개인별 입시전략이 다른 만큼 사탐런이 무조건 대입에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회탐구에서 고득점자가 속출하고 수시 수능 최저기준 충족 인원이 늘면 대신 내신 변별력이 더 커지는 등 다양한 변수들이 뒤따를 수 있다.
입시업계 관계자는 "사탐 응시생의 상위권 등급 확보가 유리한 상황"이라면서도 "다만, 자연계 상위권의 사탐 응시가 늘면서 사탐 상위권도 실제 수능 점수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사탐런이 역대 최대 규모인 상황에서 탐구영역 과목들의 표준점수 격차가 얼마나 발생하느냐에 따라 정시 지원에서의 유불리가 엇갈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통합수능 도입 이후 최근 4년간 사회탐구 9개 과목 간 표준점수 최고점차는 2022학년도 5점, 2023학년도 9점, 2024학년도 10점, 2025학년도 11점이었다.
과학탐구 8개 과목 간 표준점수 최고점차는 2022학년도 9점, 2023학년도 8점, 2024학년도 12점, 2025학년도 8점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대학마다 수능 성적표 표준점수를 그대로 정시에서 인용하는 경우, 백분위 점수를 보는 경우, 과목 간 점수차 유불리를 조정한 변환표준점수를 쓰는 경우 등 제각각이라 다양한 유불리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변환표준점수를 적용하는 대학은 점수 적용방식을 12월 5일 채점 결과 이후에 확정하는 만큼 그 적용방식을 면밀히 체크해야 한다"면서 "또한 정시에서 사탐이나 과탐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과 학과들도 자세히 체크해서 유불리를 잘 따져봐야 하는 복잡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goriou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