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삼성, 칩 가격 상승에 모바일 AP 매입액 11조원 육박…사상 최대

by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삼성전자의 올해 누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구매 비용이 1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자체 AP인 '엑시노스'의 탑재 확대가 절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4일 삼성전자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삼성전자의 모바일 AP 매입액은 10조9천27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상반기 누적 매입액인 7조7천899억원에서 3조1천376억원 늘어난 수치다.
전년 동기 8조7천51억원과 비교하면 25.5% 급증했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의 전체 원재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6.6%에서 19.1%로 늘었다.
모바일 AP 매입액 규모와 비중 모두 사상 최대치다.
지난 7월 출시된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 7'에 퀄컴의 모바일 AP인 스냅드래곤이 탑재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갤럭시Z플립 7'에는 자체 개발 모바일 AP인 '엑시노스 2500'을 탑재했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모바일 AP는 통상 스마트폰 원가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부품이다.
최근 모바일 AP를 포함한 전반적인 메모리 제품 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비용 부담이 가중됐다.
삼성전자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모바일AP 설루션 가격은 지난해 연간평균 대비 약 9% 상승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성능 메모리에 생산능력(캐파)가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범용에 속하는 PC 및 스마트폰용 반도체 가격도 치솟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4분기 일반 D램 가격 상승 전망치도 기존 8∼13%에서 18∼23%로 상향 조정하고 이런 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메모리 가격 상승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맡고 있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에는 호재지만 이를 원재료로 쓰고 있는 DX부문에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수익성 개선을 위해 자체 모바일 AP '엑시노스' 확대로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내년 초 출시되는 갤럭시S26 시리즈에 최신 칩인 '엑시노스 2600'을 탑재해 매입 비용 줄이기에 나선다.
엑시노스 2600은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가 설계하고 파운드리사업부가 생산하는 칩이다. 퀄컴의 스냅드래곤 신제품 대비 가격이 낮아 원가 절감에 유리하다.
업계 관계자는 "AI 투자 확대로 모바일 AP를 포함한 반도체 품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원가 절감과 수익성 개선을 위해 삼성전자의 모바일 AP 경쟁력 강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jakmj@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