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소희 기자] 코미디언 이경실이 달걀 브랜드 '우아란' 고가 판매 논란에 대해 입장을 전했다.
19일 이경실은 자신의 계정에 장문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어렸을 때 달걀후라이에 대한 마음이 이렇게 나이를 먹어도 늘 애잖하게 남아 품질 우선하는 달걀에 선뜻 동참해서 벌써 몇년이 흘렀다"며 "달걀은 무엇보다 신선하고 싱싱해야한다는 생각에 '우아란'만큼은 품질 우선 순위라 여겼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번 논쟁은 난각번호 4번 달걀 한판에 15,000원 1.2번 달걀보다 가격이 높다는 것 때문에 시작된 논쟁이지만, 일반적으로 4번 달걀 30구에 15,000원인 것은 비싼 것이 맞지만 '우아란'의 품질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떠한 달걀보다 월등히 품질이 좋으며, 가격에 걸맞는 가치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고 또한, 꾸준한 품질을 위해 노력하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식품을 고를 때 무엇을 보느냐만 중요했지 즉, 양질의 달걀을 만든다는 자부심에 소비자의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경실은 이어 "제가 왜 이 '우아란'이란 달걀에 진심인지, '우아란'을 어떤 사료로 만들어 내는지 여러분께 잠시만 말씀을 드리려 이렇게 글을 쓴다"며 '우아란'의 품질 기준과 생산 방식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우아란'은 판매가격 기준은 난각번호가 아닌 HU(호우유니트)라는 품질 단위"라며 "어떤 난각번호와 경쟁해도 좋을 만큼 높은 품질을 가진 달걀이다. 우아란의 HU는 매주 측정하며 금일기준 105.9HU로 시중에서 판매하는 1등급란 기준 72HU보다 무려 47% 신선하며 품질만큼은 최고라고 자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달걀의 품질등급은 +1, 1, 2, 3등급으로 최종 판정한다. 난각에 표기된 1, 2, 3, 4번은 사육환경이며 달걀의 품질 등급과는 무관하다"며 "'우아란'이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이유는 사육환경이 아닌 원료와 사육방식의 차이"라고 밝혔다. 그는 "강황, 동충하초 등 고가 원료를 급여하고 있으며, 농장의 위생관리, 질병관리 등을 통해 달걀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투입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경실은"난각번호 4번만 보고 품질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닭들의 사육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품질 또한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산란농장의 90%가 4번 농장이기에 4번 농장이 1.2번 농장의 환경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최고의 품질과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하려면 좋은 원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소비자의 기준은 사육환경(난각번호)이 곧 품질의 기준이고 우아란의 기준은 원료, 신선도, 관리, 기준이 곧 품질"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이건 사실 누가 맞다의 문제가 아니라 사육환경 및 달걀을 판단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 생각된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소비자는 난각번호(사육환경)로 좋은계란 / 나쁜계란 으로 대부분 생각하고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되었고, 1번 달걀이지만 실망하셨을 때가 있고, 4번 달걀이지만 생각보다 좋았던 경험들이 있으실 것 같다. 1.2번 달걀만 좋은 것이고 4번이라서 무조건 저품질이 아니라 4번 사육환경이라도 품질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는 걸. 이번 논란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그 의미가 제대로 설명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마무리했다.
이경실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18일 기준 달걀 신선도 다중 테스트(난중, 난백 높이, 호우유니트) 결과도 공개했다.
앞서 이경실은 지난 16일 SNS를 통해 '우아란' 달걀 구매를 독려했다. 해당 달걀은 난각번호 4번임에도, 난각번호 1·2번 달걀보다 비싼 30구 기준 1만 5000원으로 판매되어 논란이 되었다. 난각번호 4번은 좁은 케이지에서 사육된 닭이 낳은 달걀로, 스트레스가 높아 동물 복지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난각번호가 높을수록 가격이 낮지만, 이경실이 판매한 4번 달걀은 동물복지 유정란보다도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다음은 이경실 입장문 전문
20251119 수요일
안녕하세요
이경실입니다
어렸을때 달걀후라이에 대한
마음이 이렇게 나이를 먹어도
늘 애잔하게 남아 품질 우선하는
달걀에 선뜻 동참해서 벌써 몇년이 흘렀습니다
달걀은 무엇보다 신선하고
싱싱해야한다는 생각에
"우아란" 만큼은 품질 우선 순위라 여겼습니다
이번 논쟁은 난각번호 4번 달걀 한판에 15,000원 1.2번 달걀보다 가격이 높다는 것 때문에 시작된 논쟁이지만,
일반적으로 4번 달걀 30구에 15,000원인 것은 비싼 것이 맞지만 우아란의 품질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떠한 달걀보다 월등히 품질이 좋으며, 가격에 걸맞는 가치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고 또한, 꾸준한 품질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식품을 고를 때 무엇을 보느냐만 중요했지
즉, 양질의 달걀을 만든다는
자부심에 소비자의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제가 왜 이 우아란이란 달걀에
진심인지 우아란을 어떤 사료로 만들어 내는지
여러분께 잠시만 말씀을 드리려 이렇게 글을 씁니다
우아란은 판매가격 기준은 난각번호가 아닌 HU(호우유니트)라는 품질 단위입니다.
우아란은 어떤 난각번호와 경쟁해도 좋을 만큼 높은 품질을 가진 달걀 입니다.
우아란의 HU는 매주 측정하며 금일기준 105.9HU로 시중에서 판매하는 1등급란 기준 72HU보다 무려 47% 신선하며 품질만큼은 최고라고 자부합니다.
또한 달걀의 품질등급은 +1, 1, 2, 3등급으로 최종 판정합니다.
난각에 표기된 1, 2, 3, 4번은 사육환경이며 달걀의 품질 등급과는 무관합니다.
우아란이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이유는 사육환경이 아닌 원료와 사육방식의 차이입니다.
"강황, 동충하초" 등 고가 원료를 급여하고 있으며, 농장의 위생관리, 질병관리 등을 통해 달걀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난각번호 4번만 보고 품질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아란이 소비자에게 던진 메시지는 아주 명확합니다.
산란부터 배송까지 소비자에게 도착해서 달걀을 깨는 그 순간의 품질은 난각번호가 아니라 품질(신선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품질을 강조하는 이유는 그런 높은 품질단위를 유지하는 것이 무척이나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론 닭들의 사육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품질 또한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좋은 환경을 갖춘 1.2번 농장에 비해 산란농장의 90%가 4번 농장이기에
4번 농장이 1.2번 농장의 환경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최고의 품질과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하려면 좋은 원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소비자의 기준은 사육환경(난각번호)이 곧 품질의 기준이고
우아란의 기준은 원료, 신선도, 관리, 기준이 곧 품질입니다.
이건 사실 누가 맞다의 문제가 아니라 사육환경 및 달걀을 판단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 생각됩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소비자는 난각번호(사육환경)로 좋은계란 / 나쁜계란 으로 대부분 생각하고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되었고,
1번 달걀이지만 실망하셨을 때가 있고, 4번 달걀이지만 생각보다 좋았던 경험들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1.2번 달걀만 좋은 것이고 4번이라서 무조건 저품질이 아니라 4번 사육환경이라도 품질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는 걸
이번 논란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그 의미가 제대로 설명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하지만 우아란을 제 가족 뿐아니라 친지 지인들도 함께 먹는 요즘, 품질 하나 만큼은
첫 마음 그대로 지켜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달걀 신선도 다중테스트(난중.난백높이. 호우유니트)검사 결과입니다
18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