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가을 기자]'홍명보호'가 승리에도 활짝 웃지 못했다. 아직 남은 숙제가 있다.
대한민국 축구 A대표팀은 1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의 친선경기에서 1대0으로 이겼다. 한국은 파라과이(2대0 승)-볼리비아(2대0 승)-가나를 줄줄이 잡고 2025년 A매치를 3연승으로 마감했다.
한국은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예선을 '무패'로 통과했다. 11회 연속이자 통산 12번째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거머쥐었다. 한국은 일찌감치 '월드컵 모드'로 돌입했다. 9월엔 미국으로 떠나 미국(2대0 승)-멕시코(2대2 무)와 격돌했다. 10월엔 '최강' 브라질(0대5 패)을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력을 점검했다. 11월엔 까다롭기로 소문난 아프리카 팀들과 겨루며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다양한 실험 속 숙제도 발견했다. 중원 조합이었다. 그동안 중원의 사령탑 역할을 해왔던 황인범(페예노르트)이 부상으로 9, 11월 A매치에 나서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11월 A매치 2연전에선 백승호(버밍엄시티)마저 부상으로 소집 해제됐다. 홍명보 감독이 "축구에서 허리는 중요한 곳이다. 월드컵 최종 예선에 뛰었던 선수들이 거의 없어서 중요한 시기에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걱정한 이유다.
한국은 볼리비아를 상대론 김진규(전북 현대)-원두재(코르파칸), 가나전은 권혁규(낭트)-옌스 카스트로프(묀헨글라트바흐) 조합을 선발로 냈다. 후반엔 김진규-서민우(강원FC)로 구성을 바꿨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뻑뻑한 모습을 보였다. 기대했던 조직력은 없었다. 오히려 중원을 생략하고 후방에서 상대 뒷공간을 노리는 롱패스 전략을 자주 가동하는 모습이 보였다. 급기야 가나전에선 이강인(파리생제르맹)이 3선으로 깊게 내려와 볼 배급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강인은 '최후방'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바로 앞에서 공을 이어 받아 공격에 나섰다.
이강인은 가나전을 마친 뒤 "경기를 뛰면서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하려고 했다. 감독님도 경기 전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활동량을 많이 가지고 가면 좋을 것 같다고 말씀 주셨다. 최대한 팀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뛰었다"고 설명했다. 이강인이 볼을 잡으면서 조금 더 안정감을 갖게 된 것은 맞다. 그러나 이강인이 수비 라인에서 공격에 나서면 그만큼 효율성은 떨어진다.
홍 감독은 가나전을 마친 뒤 "문제점은 발견해서 월드컵 본선까지 잘 준비해야 한다. 미드필드에서 공수의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A매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른 선수들이 들어오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며 "카스트로프와 권혁규가 처음 호흡을 맞췄다. 김진규 서민우도 처음이었는데 나쁘지 않았다. 미드필더들의 경기 운영 스타일이 있다. 우리 팀에서 어떤 것을 원하고 어떻게 장점 살리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한국은 내년 3월 친선경기를 통해 다시 모인다. 6월 개막하는 북중미 월드컵 최종 준비에 나설 예정이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