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일본인♥' 송진우, 역사왜곡 논란 사과 "韓日 싸웠다 표현, 혼혈子 시선에 맞춰..제 잘못"[전문]

by

[스포츠조선 김소희 기자] 배우 송진우가 일본 관련 발언으로 역사 왜곡 논란이 일자 사과했다. 유튜브 채널 '삼오사' 제작진 역시 문제의 영상을 즉시 비공개 처리하며 사과문을 발표했다.

송진우는 26일 새벽 유튜브 채널 '삼오사' 사과글에 댓글을 남기며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많은 분들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저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의 무거움을 알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다. 그렇기에 역사를 왜곡하여 아이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는 이야기부터 드리고 싶다"고 해명했다.

그는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들었다"며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그런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앞섰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에게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고 이해하되,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선 정말 안 됐지만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 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며 "제 표현이 더욱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없이 제가 잘못한 부분"이라고 거듭 사과했다.

논란이 된 영상은 지난 25일 '삼오사' 채널에 공개된 "[354 회담] 국제 결혼이요…? 단점 많죠 장모님 사랑합니다" 편이다.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독일 출신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 호주 출신 방송인 샘 해밍턴, 배우 송진우가 출연해 국제 결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일본인 아내를 둔 송진우는 자녀 교육과 관련해 "옛날에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고 말한다. 아내 앞에서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도 하더라. 하지만 아내는 신경 쓰지 않는다. 일본 사람들은 그런 걸 잘 모른다"고 말하며 일본 혼혈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상처를 언급했다.

이를 들은 알베르토는 "우리 레오도 한국사에 관심이 많아 '엄마, 일본 사람들이 진짜로 나빴다'고 말하곤 한다"며 "하지만 가족 중 일본인이 있어 '양쪽 이야기도 들어봐라'라고 조언하기도 한다"고 공감했다.

그러나 영상이 공개되자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 '양쪽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표현이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특수성을 훼손하고 양비론적 시각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논란이 커지자 '삼오사' 측은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과문을 올렸다.

제작진은 "출연자들의 발언이 특정 사실을 왜곡하거나 잘못 전달된 것처럼 비쳐 보이게 한 것은 제작진의 책임"이라며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은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설명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었지만 편집 흐름상 단순 분쟁처럼 들릴 수 있는 뉘앙스로 전달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역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역사적 상황을 바라볼 때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표현이었다"고 해명했다.

제작진은 "잘못된 편집으로 본래 취지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했다"며 "설명 과정이 충분하지 않았고, 편집 또한 미흡해 출연자들의 발언이 왜곡된 의미로 전달됐다. 깊이 반성한다"고 사과했다.

한편, 구독자 41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삼오사'는 알베르토 몬디, 다니엘 린데만, 럭키가 운영하며 외국인의 한국 생활과 일상을 조명하는 콘텐츠를 주로 선보이고 있다.

다음은 송진우 사과문 전문

안녕하세요. 송진우입니다.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인해 많은 분들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이를 직접 말씀드리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저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의 무거움을 알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그렇기에 역사를 왜곡하여 아이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는 이야기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그런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앞섰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에게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고 이해하되,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그래선 정말 안 됐지만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 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제 표현이 더욱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없이 제가 잘못한 부분입니다.

앞으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더욱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그리고 사실만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삼오사' 제작진 사과문 전문

안녕하세요, 삼오사 제작진입니다.

11월 25일 업로드된 영상에서 제작진의 잘못으로 출연자의 발언이 다른 의미로 전달되게 된 내용이 있어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였습니다.

출연자들의 발언이 마치 특정 사실을 왜곡하고, 잘못된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비추게 한 저희의 잘못입니다.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은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습니다.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었지만, 편집 흐름상 단순 분쟁처럼 들릴 수 있는 뉘앙스로 전달되었습니다.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또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였고, 다양한 사회적·역사적 상황을 바라볼 때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는게 좋겠다 라는 의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저희의 잘못된 편집으로 그 본래의 취지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했습니다.

이번 일에 저희 제작진은 깊은 책임감과 함께 반성하고 사과드립니다.

설명 과정이 충분하지 않았고 잘못된 편집으로 인해 출연자들의 발언이 잘못된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전달 되었습니다. 깊이 반성합니다.

앞으로는 더 신중하게 편집하고 검수하겠습니다.

같은 실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작 과정 전반을 강화하겠습니다.

삼오사 제작진 일동